백두대간(完走)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3구간: 죽령-고치령 Part 1

산장 2012. 8. 5. 21:55

▶2012.07.21(土)

   산행코스: 죽령-제2연화봉(중계소)-소백산천문대-연화봉-제1연화봉-비로봉

                 -국망봉-상월봉갈림길-늦은맥이재-연화동삼거리-마당치-1032봉(형제봉갈림길)-고치령

   산행거리: 24.83km

   산행시간: 10시간36분...휴식(92분)/중식(39분)/소백샘터(17분) 포함

   날      씨: 오전엔 흐림, 오후엔 맑음

 

 

     너무나 덥다.

     연일 이어지던 비소식이 발을 꽁꽁 묶더니

     태풍이 빗자루로 거미줄을 걷어내 듯 장마전선을 한방에 휩쓸고 지나가면서

     이번엔 푹푹 찌는 가마솥더위가 찾아와 기승을 부리며 산행길을 부담스럽게 만든다.

    

      근 한 달만에 대간길에 나선다.

      이번 구간은 소백산구간..

      백두대간을 진행하면서 어디 만만한 구간이 있었냐만은

      그럼에도 날머리인 고치령에서의 불편한 교통편만 아니라면 어쩌면 이번 소백산구간은 가장 마음 편한 구간이 아닌가 싶다.

      이제 소백산을 지나면 태백산으로 이어지면서 드디어 강원도로 접어들게 되니 백두대간의 종점도 그리 멀지 않아 보인다.

 

 

                   ▼2012.07.20 19:38

                     느즈막히 단양버스터미널에 도착합니다.

 

                   ▼단양버스터미널 바로 맞은편에는 죽령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는 버스정류소가 있고..

 

                   ▼버스정류소 뒤편으론 길게 뻗은 고수대교가 낯선 산행객의 시선을 잠시나마 붙잡습니다.

 

                   ▼단양버스터미널에서 걸어서 3-4분 거리에 있는 24시간 찜질방(이화파크텔) 앞에 도착합니다.

                     이번 구간을 계획하면서 죽령에 있는 죽령휴게소(맛집)에서 민박을 할까 어쩔까 고민을 했었는데,

                     민박집에서 싱숭생숭 잠도 이루지 못한 채 뜬눈으로 하룻밤을 지새울 게 뼌한데 그것도 고역이라면 고역..!!

                     해서 터미널 근처에 있는 찜질방에서 대충 시간을 떼우다가 새벽에 택시를 타고 죽령으로 날아가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찜질방(이화파크텔) 바로 옆에 있는 단양구경시장 내의 순대국밥집(충청도순대)입니다.

                     찜질방 안으로 입장하기 전에 저녁식사를 위해 주위를 어슬렁거리다가 우연찮게 들어갔는데,

                     최근에 먹은 순대국밥 중에서 가장 맛이 깔끔하고 좋았던 거 같습니다.

 

::

::

::

::

::

 

                   ▼2012.07.21 04:51

                     눈만 깜고 있다가 03시30분에 맞춰 놓은 휴대폰의 알람소리에 기상하여 샤워를 하고 물통에 물을 꽉꽉 채운 후

                     찜질방에서 나와 편의점에 들러 간식거리를 사서 배낭 속에 집어넣고 지나가는 택시를 멈춰 세워 올라타 휑하니 죽령에 도착합니다.

                     택시비가 약 22000원 정도 나왔지만 고맙게도 그냥 2만원만 달라면서 날도 더운데 잘 다녀오시라고 합니다. 

 

                   ▼편의점에서 산 샌드위치와 커피로 아침식사를 하면서

                     스틱을 꺼내고 등산화끈을 조이는 등 이런저런 산행준비를 합니다. 

 

                   ▼아침식사와 산행준비를 하는 사이에 날이 훤하게 밝아옵니다.

 

                   ▼05:10

                     모든 준비를 마치고 드디어 산행을 시작합니다.

                     들머리에는 소백산국립공원 안내도와 함께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연화봉까지는 7.0km, 비로봉까지는 11.3km..

 

                   ▼죽령에서 시작되는 이번 소백산구간은 초장부터 딱딱한 시멘트도로를 따라 진행해야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한편으론 새벽녘 어둑한 산길에 첫발을 내딛을 때의 으스스함은 전혀 느낄 수 없어 마음만은 편안합니다. 

 

                   ▼05:13

                     들머리의 이정표를 지나 시멘트도로를 따라 잠시 진행하니 죽령탐방지원센터가 나옵니다.

 

                   ▼죽령에서 연화봉까지 무려 7km가 콘크리트 포장구간이라고 합니다. 

 

                   ▼계속 진행합니다.

 

                   ▼05:23

                     죽령탐방지원센터를 지나 약 10분쯤..

                     시멘트도로 좌측에 잠시 쉬어 쉬어갈 수 있도록 마련된 이야기쉼터라는 곳이 있습니다.  

 

                   ▼제법 선선한 새벽녘임에도 습도가 높아서인지 얼굴에선 벌써 땀이 비오 듯 쏟아지지만,

                     아직 쉴 단계는 아니므로 무시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05:30

                     이정표가 나오는데, 죽령주차장에서 벌써 1.5km나 왔습니다.

 

                   ▼05:33

                     이정표를 지나 잠시 진행하니 다시 쉼터가 나오고..

 

                   ▼연화봉으로 향하는 시멘트도로의 대간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05:38

                     얼마 진행하지 않아 다시 이정표가 나오고..

 

                   ▼고도를 조금씩 높이며 길게 이어지는 딱딱한 시멘트도로에 슬며시 지루함이 느껴지고..

 

                   ▼시멘트도로의 오르막이 한풀 꺾일 즈음..

 

                   ▼정면으로 멀리 제2연화봉에 들어선 중계소의 모습이 시야에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05:43

                     '혜성쉼터'라는 곳도 나오고..

 

                   ▼뒤를 돌아보니 지난 구간의 대간마루금도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딱딱하고 지루한 콘크리트 대간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05:54

                     산행을 시작한 지 약 50분쯤..

                     천왕성바람고개전망대라는 곳이 나옵니다.

 

                   ▼전망도 할 겸 잠시 진행을 멈추고 휴식을 취합니다.

 

                   ▼하지만 날이 흐려 전망은 꽝..

 

                   ▼06:03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06:14

                     화장실과 함께 이정표가 나오는데..

 

                   ▼연화봉까진 3.7km..

 

 

                   ▼알게 모르게 어느덧 해발고도 1200m에 이르렀습니다.

 

                   ▼아무런 볼거리도 없어 마음을 비우고 그저 나 있는 시멘트도로를 따라 땀만 줄줄 흘리며 진행했더니..

 

                   ▼느닷없이..

                     마치 사막의 신기루처럼 안개 속에 묻힌 중계소가 불쑥 바로 눈앞에 나타납니다.

 

                   ▼06:32

                     중계소를 바라보며 잠시 진행하니 이정표와 함께 제2연화봉의 정상석이 나옵니다.

                     정상석 앞에선 2명의 산님이 휴식을 취하고 있는데 가볍게 인사를 나누며 몇시에 죽령에서 출발했는지 물어봤더니,

                     5시에 출발했다고 하면서 두어 시간 후에 약 70명의 산행객들이 몰려올 건데 산행실력이 딸려 뒤쳐질까봐 미리 와서 먼저 출발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산님들의 배낭에 매달린 리본이 눈에 익숙하여 자세히 보니 계림요업의 단체대간팀입니다.

                     이번이 벌써 몇 번째인지 대간길을 따라 계림요업과의 인연이 이렇게 또 다시 이어질 줄이야..!!  

 

                   ▼06:39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다시 출발합니다.

                     이제 연화봉까진 2.7km..

 

 

                   ▼제2연화봉 정상석을 지나면서 비포장길이 잠시 이어지는데,

                    등로 주위에 핀 소백산의 여름 야생화들이 산객의 발걸음을 멈칫거리게 만듭니다.

 

                   ▼마타리

 

                   ▼달맞이꽃

 

                   ▼06:46

                     넓직한 헬기장에 이르자 전망데크가 설치되어 있는데, '토성고리전망대'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짙은 안개로 전망은 여전히 오리무중..

 

 

                   ▼토성고리전망대를 지나자 비포장길은 다시 시멘트길로 바뀌는데..

 

                   ▼시멘트길 양옆으로 소백산의 여름 야생화들이 지천을 이루고 있어 산객의 발걸음을 수시로 멈춰 세웁니다. 

 

 

                   ▼둥근이질풀

 

                   ▼꿀풀

 

 

                   ▼개망초

 

                   ▼큰뱀무

 

                   ▼쥐오줌풀

 

                   ▼쉬땅나무

 

 

                   ▼??

 

                   ▼해를 품은 안개

 

 

                   ▼06:59

                     시멘트길이 끝날 무렵 목성숲이란 이름을 가진 쉼터가 나옵니다.

 

                   ▼전망대나 쉼터에는 어김없이 지구와 함께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들의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계속 연화봉을 향해 진행합니다.

 

                   ▼비포장길이 쭈욱 이어질 것만 같더니 다시 시멘트길이 나오고..

 

 

                   ▼07:09

                     이정표와 함께 '소행성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전망데크가 나오는데..

 

                   ▼이제 연화봉 정상까진 불과 0.6km..

 

 

                   ▼솜사탕 같은 터리풀이 나타나 다시 산객의 시선을 끌고..

 

                   ▼07:14

                     이번엔 '화성별동산'이란 이름의 쉼터가 나옵니다.

 

                   ▼머리 위로 첨성대의 모양을 본뜬 구조물이 보이더니.. 

 

                   ▼07:15

                     소백산천문대가 나옵니다. 

 

 

                   ▼소백산천문대를 지나 잠시 진행하니.. 

 

                   ▼07:18

                     간이화장실과 함께 '금성별빛탐방로'라고 이름 붙여진 목제데크가 나옵니다.

                     이정표와 등산안내도도 세워져 있는데, 여기에서 길이 둘로 갈라지며 연화봉을 생략하고 곧장 비로봉으로 갈 수 있는 우회길이 있습니다.

 

 

                   ▼죽령탐방지원센터 6.9km, 연화봉 0.2km, 비로봉 4.3km..

                     연화봉 정상이 바로 지척이므로 결코 생략할 순 없습니다. 

 

                   ▼이정표를 지나 잠시 진행하니..

 

                   ▼07:21

                     다시 길이 갈라지면서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계속 이정표의 연화봉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7:23

                     드디어 연화봉 정상..

                     연화봉 정상의 낯익은 풍경을 보고서야 비로소 약 5년 전 이곳에 올랐던 기억이 새삼 새록새록 떠오릅니다.

                     잠시 배낭을 내려놓고 물을 마시며 휴식을 취합니다.

 

 

 

                   ▼여전히 짙은 안개로 조망은 전혀 할 수 없어 전망데크에 설치된 사진을 보며 아쉬움을 달랩니다.

 

 

                   ▼07:32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비로봉까진 4.3km..

 

 

 

                   ▼이제 콘크리트 대간길은 완전히 끝나고 흙냄새가 물씬 풍기는 숲길이 이어집니다.

 

 

                   ▼하지만..

                     태양볕이 쨍쨍 내려쬐지 않는 꾸무리한 날씨임에도 후덥지근한 더위에 땀은 여전히 비오듯 쏟아집니다.

                     어쩌면 땡볕이 아닌 것만도 천만다행입니다. 

 

 

                   ▼07:52

                     연화봉 정상에서 내려선 지 약 20분 쯤 이정표가 나옵니다.

                     비로봉 3.0km, 연화봉 1.3km..

 

 

                   ▼07:55

                     이정표를 지나 잠시 진행하니

                     제1연화봉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교한 사진이 부착된 안내판이 나오면서

                     제1연화봉의 정상에 이르는 멋진 평원의 모습이 펼쳐져 답답했던 가슴이 일순간 뻘 뚫리는 듯합니다.

 

 

 

 

                   ▼약 5년 전 처음 소백산을 올랐을 때

                     '산맥'이란 단어가 바다 건너 원숭이새끼들에 의해 왜곡된 역사라는 것을 가르쳐 주었던 안내판도 그대로입니다.

 

                   ▼왜 이런 목제보행로를 설치하여 산길을 걷는 맛을 반감시키게 만드는지 그땐 솔직히 몰랐었는데,

                     복구 전후를 비교한 사진을 보니 당시의 심각했던 훼손상태가 극에 달했었다는 것을 오늘에서야 처음으로 알았습니다.

                     그런 줄도 모르고 속으로 욕만 했으니 조금 창피한 생각도 듭니다.

                     십수 년에 걸친 노력으로 이렇게 멋진 소백의 능선을 볼 수 있게 해준 국립공원 측에 경의를 표합니다.   

 

 

                   ▼목제보행로를 따라 쭈욱 올라오니

                     국립공원특별보호구 안내판과 함께 이정표가 세워져 있는데..

 

                   ▼08:04

                     이정표는 제1연화봉 정상에 도착했음을 알려줍니다.

                     연화봉 1.8km, 비로봉 2.5km, 국망봉 5.6km..

 

                   ▼계속 진행합니다.

 

                   ▼08:07

                     연리목이 있다는 안내판이 나오고..

 

 

                   ▼갑자기 허기가 지기 시작합니다.

                     산행을 시작하기 전에 섭취한 샌드위치가 벌써로 소화가 다 되었는지..?

                     적당한 장소가 나오면 간단히 간식을 먹을 요량으로 계속 진행하지만,

                     웬일인지 허기는 급격한 체력감소로 이어지면서 진행을 어렵게 만듭니다.

                     생전 이런 적은 없었는데..

 

                   ▼오름의 목제계단길이 나오고, 허기로 발걸음은 더욱 무겁게만 느껴집니다.

 

 

                   ▼08:18

                     오름의 끄트머리에 이를 무렵 등로 우측에 조망과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전망지점이 있습니다.

                     진행을 멈추고 단양의 어느 편의점에서 산 삼각김밥으로 허기를 달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태양이 서서히 위력을 발휘하면서

                     소백의 능선을 뒤덮은 안개를 조금씩 걷어내고 있는 듯 보입니다. 

 

                   ▼덕분에 오리무중이었던 조망도 조금씩 트이고..

 

                   ▼지나온 연화봉 방면..

 

                   ▼08:39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내림길이 이어지면서 목제보행로가 나오고..

 

                   ▼08:41

                     또 다시 막힌 가슴이 뻥 뚫릴 듯한 시원하고도 황홀한 멋진 초지능선이 펼쳐집니다.

 

                   ▼비록 시원한 전망은 아니지만,

                     그래도 소백의 부드러운 초지능선은 약 5년만에 찾아온 산객에게 충분히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보이기만 합니다.

 

                   ▼비로봉까지 1.7km가 남았다는 이정표가 나오고..

 

                   ▼멀리 비로봉인 듯한 봉우리가 살며시 머리를 삐죽 내밀고 있습니다.

 

                   ▼훨씬 나아진 조망..

 

 

                   ▼달리 설명이 불필요한 소백의 부드러운 능선..

                     그때나 지금이나 소백의 초지능선을 거닐며 느껴지는 황홀감은 마찬가지입니다.

 

 

                   ▼뒤돌아본 연화봉 방향의 초지능선..

 

                   ▼다시 숲길이 잠시 이어집니다.

 

 

 

                   ▼이제 비로봉 정상까진 불과 1.0km..

 

 

                   ▼발걸음을 붙잡는 어여쁜 야생화는 수시로 나타납니다. 

 

 

                   ▼산꿩의다리

 

 

                   ▼숲길이 끝나고 다시 펼쳐지는 초지능선..

 

 

                   ▼비로봉 정상으로 이어지는 푸르른 초지능선이 너무나 아름답습니다.

 

                   ▼09:07

                     다시 이정표가 나오는데, 좌측으로 천동주차장으로의 하산길이 있습니다.

                     죽령주차장 10.7km, 천동주차장 6.2km, 비로봉 0.6km..

                     그러고 보니 어느새 죽령주차장에서 10.7km나 왔습니다.

                     가파른 오르내림 없이 그저 부드러운 능선이 이어지다 보니 확실히 거리에 비해 진행은 좀 빠른 것 같습니다. 

 

                   ▼다시 목재보행로가 나오고..

 

                   ▼09:08

                     좌우갈림길이 나오는데, 이정표는 우측으로 진행하도록 인도합니다.

 

 

 

                   ▼09:10

                     비로봉을 가리키는 이정표를 지나 잠시 진행하니 또 다시 갈림길이 나오면서..

 

                   ▼좌측길을 따라 건물이 한 채 보이는데, 다름아닌 지도상의 주목감시초소인 모양입니다.

 

                   ▼비로봉은 계속 직진이지만,

                     주목감시초소 뒤편에 식수를 보충할 수 있는 소백샘터가 있다고 하니 주목감시초소를 잠시 들렀다가 가기로 합니다. 

 

                   ▼저 푸른 초원 위의 그림 같은 주목감시초소

 

 

                   ▼주목감시초소 뒤편에 국립공원특별보호구 안내판이 세워져 있는데..

 

                   ▼소백샘터는 국립공원특별보호구 안내판 뒤의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 내려가면 있습니다. 

 

                   ▼국립공원특별보호구 안내판 뒤의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 잠시 내려가면 잠금장치가 달린 목책의 출입구가 나오고..

 

                   ▼출입구를 넘어 목책 사이로 난 길을 따라 쭈욱 내려가면 소백샘터에 이릅니다.

 

                   ▼목책 사이로 난 길을 따라 내려가면서 우아한 자태를 한 큼지막한 주목들이 수시로 눈에 뜁니다.

 

                   ▼09:17

                     소백샘터에 도착..

                     장마에다 태풍까지 지나가다 보니 물은 철철 넘쳐 흐릅니다.

 

                   ▼09:23

                     물통에 물을 가득 채우고 주목감시초소로 복귀..

 

                   ▼09:29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비로봉 정상을 향해 출발합니다.

 

 

 

                   ▼뒤돌아 멀어지는 주목감시초소를 바라보고..

 

                   ▼점점 가까워지는 비로봉 정상..

 

 

 

                   ▼09:38 

                     비로봉 정상에 도착합니다.

 

 

 

To be continued...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3구간: 죽령-고치령 Part 2에서 계속...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