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完走)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2구간: 저수령-죽령 Part 1

산장 2012. 7. 5. 23:45

▶2012.06.17(日)

   산행코스: 저수재-촛대봉-투구봉-시루봉-1084봉-배재-싸리재-흙목정상-뱀재-솔봉-모시골정상-묘적령

                  -묘적봉-1185봉-도솔봉-삼형제봉-1291봉-샘터-죽령

   도상거리: 20.18km

   산행시간: 9시간54분...휴식(66분)/중식(44분) 포함

   날      씨: 대체로 맑음

 

 

      대간산행을 진행하면서 아마도

      이번 저수령-죽령 구간은 가장 산행정보를 챙기지 않은 채 산행길에 나선 그런 구간이 아닌가 싶다.

      인터넷을 뒤적거려도 딱히 볼 만한 산행기도 발견되지도 않고.. 

      어쨌든 이런저런 여러 선답자들의 산행기를 대충 훑어보니 특별히 주의해야 할 갈림길은 없는 듯하다.

      또 이정표도 어느 정도 잘 박혀 있어 지도만 가지고도 충분히 산행을 진행하는 데 별 무리는 없어 보인다.

      다만 한 가지 찜찝한 것은 산행을 마치고 집으로 귀가하는 일이다.

      죽령에서 단양으로 가는 막차(17:05)를 타고 단양에서 수시로 운행되는 동서울 가는 버스를 타면 되겠지만,

      동서울에서 다시 인천으로 가는 번거러움이 너무나 싫다.

      해서 다른 방안은 없을까 알아보니 단양에서 제천으로 이동하여 제천에서 직접 인천으로 가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문제는 제천에서 인천 가는 막차가 20시에 있는데,

      죽령에서 단양 가는 막차를 탈 경우 시간이 너무 빠듯하여 제천에서 인천 가는 버스를 과연 탈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점이다.

      산행이 일찍 끝나면 죽령에서 일찌감치 택시를 타고 단양으로 이동하여 여유롭게 제천으로 가고,

      그렇지 못할 경우 그냥 죽령에서 버스를 타고 단양으로 가서 기차를 타고 청량리로 가든지 아님 버스를 타고 동서울로 가든지 하기로 하고

      황장산민박집 주인장의 차를 타고 어제의 날머리인 저수령에 도착하여 다시 대간길에 나선다.  

     

 

                   ▼06:50

                     황장산민박집 주인장의 차를 타고 어제의 종점이자 오늘의 시작점인 저수재에 도착합니다.

                     저수재 표지석 옆에 있는 벤치에 앉아 모닝커피를 마시면서 스틱을 꺼내고 등산화끈을 조이는 등 산행준비를 합니다. 

 

                   ▼06:59

                     산행준비를 마치고 저수재-죽령 구간의 대간산행을 시작합니다.  

                     지도를 보니 첫 번째 올라야 할 봉우리는 촛대봉..

 

                   ▼저수재에서 산길에 발을 올리자 마자

                     가파른 오름길이 약 3-4분 정도 이어지더니 마루금은 이내 완만하고 부드러워집니다.

 

                   ▼완만한 오름길은 이내 차츰 가팔라지면서..

 

                   ▼07:10

                     산행을 시작한 지 약 10분만에 이름 없는 능선봉에 올라섭니다.

 

                   ▼능선봉을 지나 내려가고..

 

                   ▼다시 오름길,,

 

                   ▼07:18

                     처음으로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저수령 0.5km, 용두휴게공원(右), 촛대봉 0.3km..

                     첫 번째 올라야 할 촛대봉까진 불과 0.3km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오름길은 조금 더 이어지고..

 

                   ▼촛대봉의 상징인 듯한 커다란 바위가 나타나더니..

 

                   ▼07:27

                     커다란 바위를 지나 올라가자 바로 촛대봉 정상입니다.

                     오늘의 첫 번째 봉우리인 촛대봉에는 그렇게 힘들이지 않고 쉽게 올라선 듯합니다.

 

 

                   ▼오늘은 어제와는 달리 탁 트인 조망은 전혀 기대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마치 비가 올 것처럼 바람이 불면서 날이 꾸무리하고, 거기에다 짙은 안개까지 끼여 있으니.. 

 

                   ▼촛대봉 정상에 세워진 이정표입니다.

                     촛대봉 정상은 저수령에서 0.8km의 거리에 있으며,

                     두 번째 올라야 할 투구봉까진 0.73km이고, 솔봉까진 12.43km입니다. 

 

                   ▼07:30

                     간단히 물 한 모금 입에 넣고 촛대봉 정상에서 내려갑니다.

 

                   ▼완만한 내림길이 이어지고..

 

                   ▼07:35

                     다시 이정표가 나옵니다.

                     저수령1.09km, 촛대봉0.29km, 투구봉0.44km, 솔봉11.7km.. 

 

                   ▼이정표를 지나 오름길이 잠시 이어지더니..

 

                   ▼07:39

                     촛대봉을 벗어난 지 채 10분도 되지 않아

                     이번 구간의 두 번째 봉우리인 지도상의 투구봉 정상에 도착합니다.                   

 

 

                   ▼투구봉 정상의 조망을 할 수 있는 바위에 올라서지만 안개로 인해 조망이 영 형편 없습니다.

 

                   ▼가야 할 대간길 방향..

 

                   ▼아무래도 오늘은 조망은 일찌감치 포기하고 진행해야 할 듯..

 

                   ▼07:41

                     엉망인 조망에 약간의 실망감을 안은 채

                     투구봉 정상을 뒤로하고 올라야 할 시루봉을 향해 계속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07:48

                     잠시 진행하니 또 이정표가 나옵니다.

                     저수령2.0km, 투구봉0.46km, 시루봉1.0km, 솔봉10.68km.. 

                     오늘은 이정표가 자주 나와서 지루하지 않아 좋습니다. 

 

 

                   ▼07:55

                     오름길이 제법 길게 이어진다 싶더니 어느 봉우리에 이를 무렵 좌우갈림길이 나오는데..

 

                   ▼직진하는 길은 봉우리를 좌측으로 우회하는 것 같아

                     봉우리로 직접 이어지는 우측으로 진행하면 혹시나 시루봉 정상이 아닐까 싶어 올랐더니 

                     아무런 표시도 없는 개털봉..

 

                   ▼개털봉에서 내려오니

                     결국 봉우리 앞에서 갈라졌던 두 길은 다시 합쳐지고..

 

                   ▼07:59

                     잠시 진행했더니 시루봉 정상입니다.

                     저수령에서 산행을 시작한 지 약 1시간만에 벌써 지도상에 표시된 봉우리를 세 개나 오른 것입니다.

                     숨을 꼴딱꼴딱 넘어가게 만드는 가파른 구간도 없고,

                     산행이 예상 밖으로 쉽게쉽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 이러다가 오전 중에 산행이 끝나지나 않을까하는 건방진 착각마저도 듭니다.

 

                   ▼오늘은 봉우리마다 정상표시가 있고, 또 중간중간 이정표까지 잘 설치되어 있어 든든합니다.

                     죽령까진 험한 암릉구간 없이 부드러운 흙길만이 계속 이어질 것 같은데.. 

                     시간만 지나면 죽령엔 그렇게 어렵지 않게 도착해 있을 것이란 예상을 조심스럽게 하면서 지도를 보며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08:09

                     휴식을 마치고 시루봉 정상에서 내려갑니다.

                     지도를 보니 이제 1084봉을 올라 배재로 고도를 떨어뜨리며 내려가야 합니다.

 

                   ▼완만한 내림길이 제법 고도를 낮추며 길게 이어지다가..

 

                   ▼펑퍼짐한 능선봉을 지나면서 조금씩 고도를 높이는 오르내림의 등로가 이어집니다.

 

                   ▼08:25

                     좁은 헬기장이 나오고..

 

                   ▼헬기장을 지나자 육산의 전형을 보여주려는 듯 부드러운 등로가 잠시 이어지고..

 

                   ▼아쉽게도 부드러운 등로는 짧게 끝나고

                     잣나무숲과 함께 제법 급한 오름길로 연결됩니다.

 

                   ▼08:31

                     잣나무숲의 오르막길을 따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이정표와 함께 1084봉이라고 적힌 코팅지가 눈에 들어옵니다.

 

                   ▼저수령에서 벌써 4.19km나 왔습니다.

                     배재까진 불과 0.65km이며, 솔봉까진 6.96km 남았습니다. 

 

                   ▼08:32

                     쉬지 않고 계속 진행합니다.

 

                   ▼부드럽고 푹신한 솔밭길이 잠시 이어지다가..

 

                   ▼급내림길이 나오고..

 

 

                   ▼급내림길을 따라 쭈욱 내려와 배재인 듯한 안부로 내려서니

                     고개의 느낌 없이 등로 우측에 버려진 막걸리통만이 눈에 들어오는데..  

 

                   ▼08:43

                     "어떤 개너머새끼가 쳐 먹고 함부로 저기다가 버려 놓았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몇 걸음 더 진행하니

                     이내 현위치가 '배재'라는 것을 알리는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우측으로 '야목'으로 내려가는 하산길이 있으며, 가야 할 싸리재까진 1.2km..

 

                   ▼계속 진행합니다.

 

                   ▼오름길이 이어지고..

 

                   ▼제법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08:54

                     배재에서 약 10분 정도 오르막을 올라 어느 봉우리에 올라섭니다.

                     느낌상 배재와 싸리재 사이의 봉우리인 지도상의 1059.3봉인 듯한데 아무런 표시도 없어 계속 진행합니다.

 

                   ▼완만한 내림길이 이어지고..

 

                   ▼내림길은 이내 오름길로 바뀌어 완만하게 이어지면서..

 

                   ▼08:59

                     또 다시 봉우리에 올라서는데,

                     방금 전의 봉우리와 높이에 있어서 별반 차이는 없어 보이지만

                     여러 대간리본들도 매달려 있고 최소한 약 1-2m 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느껴지니 여기가 지도상의 1059.3봉인 것 같기도 합니다.

 

                   ▼1059.3봉으로 추정되는 봉우리에서 내려가자

                     싸리재로 곧장 떨어질 듯한 급내림길이 나타나고..

 

 

                   ▼줄기찬 내림길을 따라 쭈욱 내려오니..

 

                   ▼09:12

                     현위치가 싸리재라는 것을 알리는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잠시 진행을 멈추고 물 한 모금 입에 넣고 지도를 보며 휴식을 취합니다.

 

                   ▼우측으로 '원용두'로의 하산길이 있으며, 가야 할 흙목정상까진 1.2km라고 합니다.

 

                   ▼좌측으로도 길이 있는데, 단양유황온천까진 2.7km라는 팻말이 있습니다.

 

                   ▼09:19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이제는 흙목정상을 향해..

 

                   ▼싸리재를 뒤로하고 흙목정상을 향해 발걸음을 옮기자 마자 넓직한 헬기장이 나옵니다.

 

                   ▼헬기장을 지나자 제법 가파른 오름길이 나오고..

 

                   ▼오름길에 뒤를 돌아보니 배재와 싸리재 사이의 봉우리인 1059.3봉이 우뚝 솟아 있는데,

                     해발 천 미터가 넘는 낮지도 않은 봉우리인데도 아무런 이름도 없지 못한 것이 조금은 안쓰럽게 보입니다.

                     두 고개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니 오늘부터 내 너를 간재봉으로 부르겠노라,,.!! 

 

                   ▼09:31

                     싸리재를 지나 10여 분 정도를 가파르게 올라 또 다시 아무런 이름도 얻지 못한 무명봉에 이르고..

 

                   ▼숨을 고르며 무명봉에서 내려서자..

 

                   ▼제법 급한 내림길이 짧게 이어지다가..

 

                   ▼커다란 바위들이 덤성덤성 나타나면서 오름길로 바뀌고..

 

                   ▼등로는 바위 옆으로 우회하여 나 있습니다.

 

                   ▼절묘하게 균형을 잡고 있는 바위도 나오고..

 

                   ▼09:39

                    오름길이 조금 더 이어지면서 또 하나의 무명봉에 다가서고..

 

                   ▼무명봉을 지나 다시 내림길..

 

                   ▼무명봉에서 내려서면서 정면으로 올라야 할 흙목정상인 듯한 봉우리가 시야에 들어옵니다.

 

                   ▼내림길이 짧게 끝나고

                     거의 평길에 가까운 호젓한 숲길이 부드럽게 이어지면서..

 

                   ▼09:46

                     완만한 오름길을 따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여러 대간리본들이 매달려 있어 흙목정상이 아닐까 싶었지만 그저 스쳐지나가는 능선봉에 불과하고..

 

                   ▼조금 더 진행하니..

 

                   ▼09:49

                     삼각점과 함께 흙목정상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싸리재 0.95km, 임도(右) 0.85km, 가재봉(右) 2.2km, 뱀재 0.55km..

                     아까 싸리재에서 흙목정상까지는 1.2km라고 적혀 있었는데 이곳 이정표에는 싸리재까지 0.95km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정표의 거리정보가 서로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또한 지도상에는 헬기장이 곧 뱀재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이정표에는 뱀재와 헬기장이 서로 다른 지점인 것처럼 표시되어 있습니다.

                     언제나 이정표는 단지 참조사항일 뿐..

                     한편으론 대간산행객이 아니면 그 누구도 찾아올 것 같지 않은 산에 이정표가 세워져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봉우리의 이름 대신 '흙목정상'이라는 말이 조금은 생소하게 들린다.

물론 대간마루금 우측 아래에 예천군 상리면의 '흙목'이라는 지명이 있어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겠지만,

흙목봉도 아니고 '흙목정상'이라는 고유지명으로 그대로 굳어진 듯하여

아무래도 생각을 한 번 더 하게 만든다.

 

 

                   ▼우짜다가 흙목정상이라는 이름이 그대로 굳어졌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흙목정상을 뒤로하고 계속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지도를 보니 이제 송전탑이 나오고 헬기장인 뱀재를 지나 솔봉을 올라야 합니다.

 

                   ▼흙목정상에서 발걸음을 옮기자 가파른 내림길이 잠깐 이어지다가

                     곧 부드러운 오르내림의 등로로 바뀌면서 전방으로 올라야 할 봉우리가 눈에 들어오는데..

 

                   ▼10:00

                     봉우리에 올라서니 우측으로도 선명하게 길이 나 있지만,

                     대간리본의 안내에 따라 그대로 직진하는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봉우리를 지나 완만한 등로가 이어지다가

                     암봉이 나타나면서 암봉을 우회하는 좌측 옆구리길을 따라 대간길이 이어지고..

 

                   ▼좌측 옆구리길을 따라 진행하면서

                     뭔가 우웅~하는 비행기 지나가는 듯한 굉음이 들려오기 시작하더니..

 

                   ▼10:07

                     돌연 송전탑이 나타나는데, 굉음은 바로 이 송전탑에서 비롯되었던 것입니다.

 

                   ▼송전탑에서 나는 소리가 하도 께름직하여

                     행여나 전기통닭구이가 되지 않을까 후다닥 송전탑을 지나칩니다.

 

                   ▼송전탑을 지나 별다른 특징 없는 부드러운 능선길이 길게 이어집니다.

 

                   ▼간혹 올라야 할 봉우리들이 눈에 들어오긴 하지만

                     무성한 수림으로 인해 좀처럼 시원스럽게 드러나진 않습니다.

 

                   ▼등로를 침범한 잡풀구간도 나오고..

 

                   ▼별 볼거리 없는 한적한 산길을 따라 터벅터벅 진행하다 보니..

 

                   ▼10:30

                     어느새 지도상에 표시된 헬기장인 뱀재에 도착합니다. 

 

 

                   ▼뱀재(헬기장)에 설치된 이정표입니다.

                     흙목정상 2.2km, 초항(右) 1.8km, 솔봉 1.95km..

                     아까 흙목정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거리정보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침에 드리워졌던 안개는 말끔히 사라졌지만

                     머리 위로 내려쬐는 따가운 땡볕에 점차 발걸음이 무거워지면서 갈증이 심해집니다.

                     잠시 진행을 멈추고 물통에 김연아믹서커피를 넣고 흔들어 냉커피를 만들어 쵸코바와 함께 마시며 휴식을 취합니다.  

 

                   ▼10:45

                     이제 올라야 할 봉우리는 솔봉..

                     휴식을 마치고 보따리를 챙겨 헬기장을 벗어나려는 순간

                     대간길에 항상 도움을 주는 표언복님의 노란 코팅지가 등로 한쪽 구석에 매달려 있습니다.

 

                   ▼계절은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앙상한 가지만 보며 산행을 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녹음이 우거져 등로마저도 삼키고 있으니..  

 

                   ▼멋진 싸리나무터널도 나오고..

 

                   ▼모처럼 바윗길도 나오고..

 

                   ▼별 볼거리도 없고, 특징도 없는..

                     단지 한 줄로 선명하게 그어진 능선길만이 시종일관 이어집니다.

 

                   ▼별시리 힘들지 않은 완만한 오름길이 제법 진득하게 이어지다가..

 

                   ▼어느 봉우리에 다가설 무렵 오름길이 제법 가파르다는 느낌이 들더니..

 

                   ▼11:09

                     아니나다를까 솔봉 정상입니다.

 

                   ▼이제 묘적령을 지나 묘적봉을 올라야 합니다.

                     묘적봉까진 1.7km..

 

                   ▼솔봉 정상에 박혀 있는 삼각점

 

                   ▼아무런 조망도 없고, 그늘도 없고..

                     단지 머리 위로 따가운 태양빛만이 내려쬐고 있어 머뭇거리지 않고 바로 솔봉 정상을 벗어나려는데,

                     솔봉 정상에서 내려가는 등로가 무성한 수풀로 가려져 있습니다.

 

 

                   ▼수풀과 함께 가파른 내림길이 짧게 이어지다가 통나무가 박힌 정비된 등로가 나오면서 길이 두 갈래로 나뉘는데,

                     대간리본이 친절하게 산객을 좌측으로 진행하도록 인도할 뿐만 아니라 우측으로는 가지말라고 통나무까지 가로놓여져 있습니다. 

 

                   ▼갈림길을 지나 부드러운 내림의 등로가 이어집니다.

 

 

                   ▼11:21

                     완만한 내림길을 따라 안부로 내려서니 우측으로 하산길이 있습니다.

                     무슨 고개인 것 같은데 지도상에는 아무런 표시도 없습니다.

 

                   ▼안부를 지나 완만한 오름길이 짧게 이어지면서 펑퍼짐한 능선봉을 넘어서고...

 

                   ▼완만한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더니..

 

                   ▼오르내림도 없는 거의 평길에 가까운 편안한 능선길이 이어지면서..

 

                   ▼11:27

                     이정표가 나타나는데, 이정표의 기둥에 '모시골정상'이라고 어느 산님이 매직으로 써 놓은 글씨가 있습니다. 

                     저수령 9.0km, 모시골마을(右) 1.7km, 묘적령 1.7km..

 

 

                   ▼모시골정상을 지나 편안한 능선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11:34

                     모시골정상을 지나 약 6-7분쯤..

                     2개의 벤치가 놓여진 봉우리에 올라서니 현위치가 1011봉이라는 코팅지가 나무가지에 매달려 있습니다.

 

 

                   ▼계속 진행합니다.

 

                   ▼마루금은 계속 부드럽게 이어지고..

 

                   ▼완만한 내림길이 나타나면서 정면으로 올라야 할 마루금이 살짝 시야에 들어오지만..

 

                   ▼묘적봉쯤 되겠지라는 짐작만 될 뿐..

                     살짝 드러나는 모습만 가지고는 도저히 가늠할 수가 없습니다.

 

 

                   ▼내림길은 오름길로 바뀌고..

 

                   ▼11:46

                     오름길을 따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또 다시 2개의 벤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번에도 현재의 위치를 알려주는 고마운 코팅지가 나무에 매달려 있습니다.

                     비록 코팅지에는 1022봉이라고 적혀 있지만 지도상의 1027봉을 일컫는 듯합니다.

 

                   ▼벤치에 앉아 잠시 쉬고 싶은 생각도 들지만, 슬슬 허기도 지고..

                     조금 더 가다가 적당한 장소가 나오면 거기서 점심식사를 하며 쉬기로 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이제 대간마루금은 묘적령으로 이어지는 내림길..

 

                   ▼그러나 내림길은 얼마 가지 않아 흐지부지해지면서..

 

                   ▼고도를 전혀 낮추지 못 한 채 평이한 능선길로 이어집니다.

 

                   ▼인적이 드문 산길에 꽃이름설명판도 다 나오고..

                     이제 확실히 소백산국립공원의 영역 안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긴 한 모양입니다.    

 

                   ▼편안한 능선길이 제법 길게 이어지다가

                     고개로 떨어지는 내림길이 아니라 오히려 오름길이 나오는데..

 

                   ▼이상하다 싶어 진행하면서 지도를 보니

                     묘적령의 해발높이가 무려 1015m로 주변의 봉우리들과 높이에 있어서는 별반 차이도 없는 봉우리나 마찬가지인 고개입니다.

 

                   ▼약간의 오르막을 따라 올라가니..

 

                   ▼11:59

                     느닷없이 현재 위치가 묘적령이라는 것을 알리는 이정표가 나옵니다.

                     고개치고는 조금은 이상한 고개입니다.

                     대개 마루금산행에 있어서 고개는 아래로 푹 꺼지는 안부의 형태를 띄기 마련인데..

                     어쨌든 대간길은 '이곳은 훼손지 생태복원구간이오니....'라고 적힌 팻말이 세워진 쪽으로 직진하는 길이고,

                     우측으로는 고향치와 모래재로의 하산길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묘적령 표지석은 이정표를 지나 그대로 직진하면 절대 만날 수 없습니다.

                     어디에 있는지는 비밀이므로 잘 찾아보시길..!!

                     ㅋㅋㅋ

 

 

To be continued...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2구간: 벌재-죽령 Part 2에서 계속...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