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完走)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1구간: 차갓재-저수령 Part 2

산장 2012. 6. 27. 21:26

▶2012.06.16(土)

   산행코스: 차갓재-작은차갓재-황장산-황장재-벌재-들목재-문복대-장구재-저수령

   도상거리: 14.14km

   접속거리: 약 0.6km(안생달--▷차갓재)

   산행시간: 약 9시간..접속(30분)/휴식(96분)/중식(40분) 포함

   날      씨: 대체로 맑음

 

   06:43  안생달마을(황장산민박)

   07:13  차갓재

   07:29  작은 차갓재

   07:45  전망지점/휴식(11분)

   08:24  묏등바위 직벽오름길/휴식(10분)

   08:46  황장산/휴식(08분)

   09:30  황장재

   09:41  헬기장/휴식(03분)

   09:47  갈림길(우측내림길로 진행)

   09:51  985봉(??)/휴식(10분)

   10:31  1004봉(??)

   10:44  갈림길(우측내림길로 진행)

   10:57  폐백이재/휴식(13분)

  

 

                   ▼이번엔 통밥이 틀리진 않았는지

                     계림요업 대간산행팀의 선두조가 남긴 A4용지에도 현위치가 폐백이재라고 적혀 있습니다.

                     잠시 진행을 멈추고 지도도 볼 겸 물을 마시며 휴식을 취합니다. 

 

                   ▼11:10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지도를 보니 이제 928봉을 지나 내려서면 감시가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벌재입니다.

 

                   ▼폐백이재를 지나 짧지만 강렬한 한바탕의 된비알이 이어지면서..

 

                   ▼11:14

                     이름 없는 어느 무명봉에 이르고..

 

                   ▼무명봉을 지나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다가..

 

                   ▼내림길은 이내 완만한 오름길로 이어집니다.

 

                   ▼완만한 오름길은 차츰 가팔라지고..

 

 

                   ▼11:22

                     가파른 오름길이 제법 이어지다가 또 다시 진행을 멈추게 만드는 멋진 전망지점이 나타납니다.

 

                   ▼문경시 동로면이 시원하게 내려다보이고...

 

                   ▼천주봉은 조망이 트일 때마다 빠짐없이 등장합니다.

 

 

                   ▼오늘 지나온 대간마루금..

                     저게 치마바위인가..??

 

                   ▼간단히 조망을 마치고 계속 928봉을 향해 발걸음을 옮깁니다.

 

                   ▼전망지점을 지나 완만한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다가

                     내림길은 거의 고도를 낮추지 못 하고 거의 평길에 가까운 편안한 능선길로 바뀌고..

 

                   ▼11:29

                     약간의 오르막을 올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이번에도 계림요업 대간산행팀의 선두조에서 남긴 928봉이라고 적힌 A4용지가 발견되는데,

                     마루금은 928봉에서 또 다시 급우측으로 꺾입니다.  

 

 

                   ▼어느덧 산행을 시작한 지 약 5시간..

                     배도 출출하고, 928봉 정상이 넓직하니 식사자리로 적당하여 배낭을 내려놓고 점심상을 폅니다. 

 

                   ▼12:08

                     점심식사를 마치고 928봉에서 내려갑니다.

  

                   ▼이제 벌재를 향해..

                     벌재까진 고도를 약 300m 정도 떨어뜨리는 내리막길입니다.

  

                   ▼군데군데 모여 앉아 점심식사를 하는 계림요업 대간산악회의 대원들..

 

                   ▼편안한 내림길이 줄기차게 이어집니다.

 

                   ▼약간의 오르막도 나오지만 내림 위주의 길이 시종일관 이어집니다.

 

                   ▼이번엔 계림요업 대간산행팀의 선두조를 만났는데,

                     벌재를 통과할 때 한꺼번에 통과할 거라고 뒤에 쳐진 대원들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합니다.  

                     "걸리면 벌금 낼 텐데 조심하세요"라는 말에 "기부 좀 하지 뭐요. 천천히 오십시오"라는 말을 남기고 계속 진행합니다.

 

                   ▼선답자들의 산행기록에 따르면,

                     928봉에서 벌재로 내려가기 전에 헬기장이 나오고, 헬기장을 지나 잠시 진행하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그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감시초소로 바로 떨어지므로 우측으로 우회해서 내려가야 한다고 합니다.

 

                   ▼내림길이 계속 이어지면서 가끔씩 큰크리트말뚝이 나오고..

 

                   ▼12:26

                     드디어 헬기장.. 

 

                   ▼행여나 갈림길을 놓치지나 않을까 조심스럽게 진행합니다.

 

 

                   ▼콘크리트말뚝은 수시로 나타나고..

 

                   ▼12:30

                     헬기장에서 약 3-4분쯤 조심스럽게 내려가니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가 바로 선답자들이 말하는 그 갈림길인 모양입니다.

                     감시초소를 피해서 내려가기 위한 우측의 우회길은 약 4시 방향으로 뒤로 후퇴하 듯 나 있습니다.

                     당연히 대간리본은 다 제거를 해서인지 매달려 있지 않습니다.

 

 

                   ▼잠시 진행하니 좌측 아래로 벌재의 도로 위를 지나는 차량들의 소리가 들려오고..

 

                   ▼시멘트배수로를 따라 우회길이 이어지더니..

 

                   ▼12:36

                     드디어 목재울타리에 출입금지현수막이 걸려 있는 벌재로 내려섭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언제나 그렇듯이 출입금지현수막이 있는 지점이 곧 대간꾼들에겐 공식들머리이자 날머리입니다.

 

                   ▼벌재의 도로 위로 내려와서 좌측으로 진행..

 

                   ▼잠시 진행하니 백두대간 벌재표지석과 월악농장표지석이 눈에 들어옵니다.

 

                   ▼실질적인 마루금은 벌재표지석 뒤의 나즈막한 산을 넘어

                     벌재표지석과 월악농원표지석 사이로 난 시멘트임도로 내려와서 문북대로 오르는 거지만,

                     감시초소를 피해 우회하여 벌재로 내려오다 보니 벌재표지석 뒤의 나즈막한 산은 의미가 없어져

                     벌재표지석과 월악농원표지석 사이의 시멘트임도로 바로 진행하는 게 지금의 추세인 듯합니다.

 

 

                   ▼황장산에 대한 설명판도 있고..

 

                   ▼백두대간 벌재표지석

 

                   ▼벌재표지석 바로 뒤에 있는 정자에서 배낭을 내리고 휴식을 취합니다.

 

                   ▼휴식을 취하는 동안 계림요업 대간산행팀이 긴 행렬을 이루며 벌재의 도로로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화령과 더불어 벌재에도 쪽바리들에 의해 끊어진 마루금복원사업이 이루어진다고 하는데,

                     복원사업이 완성되고 나면 그때에는 대간꾼들은 과연 어떠한 형태로 벌재를 통과하게 될지..??

                     혹은 출입금지가 해제되어 자유의 몸으로 복원된 마루금을 통해 진행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12:55

                     긴 휴식을 마치고 계림요업 대간산행팀의 대열에 합류해 다시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월악농원표지석 옆으로 난 시멘트임도를 따라 잠시 진행하니 문복대에 관한 낡은 설명판이 나오고..

 

                   ▼문복대 설명판을 지나 시멘트임도 좌우측에 백두대간 문경 오미자길의 쇠파이프터널이 나옵니다.

                     아까 벌재표지석 뒤의 산으로 오를 경우 바로 이곳으로 내려오게 되는 셈입니다.

 

                   ▼12:57

                     문복대를 향해 올라갑니다. 

 

                   ▼계단을 밟고 올라가자 이번 산행에 있어서 처음으로 이정표다운 이정표가 나옵니다.

                     황장산 5.5km, 문복대 3.5km..

 

 

 

                   ▼13:04

                     얼마 안 가서 또 다시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황장산 5.7km, 문복대 3.2km..

 

 

                   ▼은근히 가파른 오름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13:16

                     이름 없는 능선봉에 이르고..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고..

 

                   ▼내림길은 이내 오름길로 바뀌면서..

 

                   ▼13:19

                     다시 이름 없는 능선봉에 올라서는데 이번엔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황장산 6.6km, 문복대 2.5km..

                     벌재에서 벌써 1km나 왔습니다.

 

                   ▼다시 내림길로 이어지고..

 

                   ▼내림길에 올라야 할 문복대인 듯한 봉우리가 정면으로 보이면서..

 

                   ▼이번엔 제법 길게 내려가는데..

 

 

                   ▼13:25

                     안부로 내려서니 좌우로 길이 있는 고갯마루인 걸 보니 지도상의 들목재에 도착한 모양입니다.

 

                   ▼다시 올라갑니다.

 

 

                   ▼들목재를 지나 제법 힘이 드는 은근히 가파른 오름길이 길게 이어집니다.

 

                   ▼여러 명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너른 공터가 나오고..

 

                   ▼등로를 무성하게 뒤덮은 잡목길도 지나고..

 

                   ▼은근하게 가파른 오름길이 꾸준하게 이어집니다.

 

 

                   ▼끈질기게 이어지는 오름길..

 

                   ▼13:56

                     들목재에서 약 30분 동안이나 끈질기게 이어진 오름길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는 봉우리에 올라섭니다.

                     지도상의 옥녀봉이 아닐까 생각되지만 그저 짐작만 될 뿐 볼품없는 좁은 봉우리라 당최 알 수가 없습니다.

                     일단 진행을 멈추고 물을 마시며 숨을 고릅니다.

 

                   ▼14:02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휴식을 취했던 봉우리에서의 내림길은 짧게 끝나고 다시 오름길로 이어지고..

 

                   ▼오름길도 짧게 끝나고 다시 내림길..

 

                   ▼내림길은 기껏 올려놓은 고도를 허무하게 낮추면서 

                     전방에 올라야 할 2-3분짜리 봉우리를 앞두고 제법 길게 이어집니다.

 

 

                   ▼14:08

                     안부로 내려서고..

 

                   ▼다시 오름길..

 

                   ▼오랜만에 시야가 트이면서 천주봉이 눈에 들어옵니다.

 

                   ▼봉우리를 우회하는 옆구리길도 나오고..

 

 

                   ▼정면에 보이는 펑퍼짐한 봉우리로 이어지는 완만한 오름길이 나타나고..

 

                   ▼완만한 오름길은 봉우리 정상으로 직접 향하지 않고 좌측으로 살짝 비켜서 이어지고..

 

                   ▼14:23

                     약간의 오르막을 조금 더 올라 이름 없는 무명봉에 올라섭니다.

 

                   ▼다시 내림길..

                     문복대에 이르는 마루금이 예상 밖으로 길고 힘들게 느껴집니다.

 

                   ▼내림길에 정면으로 우뚝 솟은 봉우리가 보이는데, 저게 문복대의 정상인 듯 보입니다.

 

                   ▼내림길은 짧게 끝나고 이제 문복대 정상을 향한 오름길..

 

                   ▼14:35

                     헉헉대며 올라가니 드디어 문복대 정상입니다.

                     배낭을 내려놓고 물을 마시며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14:48

                     휴식을 마치고 문복대 정상에서 내려갑니다.

 

                   ▼이제는 저수령으로의 하산길..

                     오늘의 산행도 막판으로 치닿고 있습니다.

                     황장산 정상을 지나 알바하기 쉬운 지점이 많다고들 하여 제법 걱정을 했었는데,

                     계림요업 대간산행팀의 선두조가 주요 갈림지점에 남긴 A4용지로 인해 아무런 고민 없이 쉽게쉽게 진행할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면서..

 

                   ▼가끔씩 등로 주변에 바위도 나타나고..

 

                   ▼약간의 오르막길이 나오고..

 

                   ▼15:05

                     오르막을 올라 능선봉을 지나면서

                     이번 구간의 산행종점인 저수령을 지나는 도로의 모습이 멀리 시야에 잡힙니다.

 

                   ▼고도를 낮추지 못한 채 완만한 등로가 이어지다가..

 

                   ▼다시 살짝 오르막이 나오고..

 

                   ▼또 하나의 능선봉을 넘어서자 고도를 낮추는 급내림길이 나타납니다.

 

                   ▼내림길이 줄기차게 이어지고..

 

                   ▼15:27

                     쇠파이프터널의 오미자길이 나오면서 안부로 내려서는데..

 

                   ▼오늘의 산행종점인 저수령인 줄 알았더니 선답자들의 산행사진에서 본 저수령의 모습이 아닙니다.

 

                   ▼진행을 멈추고 지도와 산행정보를 꺼내 보니 옛저수령이라고 하는 장구재에 도착한 것입니다.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잠시 진행하니

                     여러 대간리본들이 발견되면서 다시 산으로 올라가는 들머리가 있습니다.

 

                   ▼다시 올라갑니다.

 

 

                   ▼15:38

                     장구재에서 약 10분 정도 올라가니 봉우리에 이르는데..

 

                   ▼등로 우측에 훼손된 묘지가 있습니다.

 

                   ▼봉우리에서 내려가면서 이정표도 나오고..

 

                   ▼봉우리에서 내려가면서 오늘의 산행이 끝나감을 알리려는 듯

                     저수령의 도로위를 달리는 차량들의 소리가 아주 가깝게 들려옵니다.

 

                   ▼15:43

                     차량들의 소리를 들으며 내림길을 따라 내려오니

                     저수령에 내려서기 직전에 해맞이 제단석이 있습니다.

                     해맞이를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장소인 것 같은데..

 

 

                   ▼15:44

                     해맞이 제단석을 지나 드디어 이번 구간의 산행종점인 저수령에 내려섭니다.

 

                   ▼저수령에도 백두대간 저수령표지석이 2개나 세워져 있습니다.

 

                   ▼이건 경상북도 예천에서 세운 것이고..

 

                   ▼이건 충청북도 단양에서 세운 것입니다.

 

                   ▼경상북도 예천에서 세운 저수령표지석에는 저수령의 유래가 새겨져 있습니다. 

 

                   ▼좌측으로 조금 내려가면 있는 저수령휴게소..

 

                   ▼전에는 민박도 하고 식당영업도 했다고 하는데.

                     지금은 고상한 찻집으로만 운영될 뿐 식수조차 구할 수 없어 대간꾼들에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저수재쉼터에서 배낭을 내려놓고 

                     황장산민박집 픽업차량을 기다리며 백두대간 차갓재-저수령 구간을 마칩니다.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