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저산

지리산둘레길(매동마을-벽송사)

산장 2010. 1. 5. 22:06

 

 ▶2009.12.31(목)~2010.1.1(금)

    산행코스: 매동마을-등구재-창원마을-금계마을-의평마을-서암정사-벽송사-추성마을

    소요시간: 쉬엄쉬엄 7시간

    날      씨: 맑 음

 

   

    지리산 천왕봉에서 일출과 함께 새해를 맞이하려고

    걱정 반 설레임 반으로 중산리를 향해 출발!!

    하지만 폭설로 중산리매표소 앞에서 입산통제...!!

    다시 집으로 돌아가기는 그렇고...

    방황하다가 방향을 돌려 지리산둘레길이 시작되는 전북 남원의 매동마을로 향합니다.

 

   

                   ▼2009.12.31 15:40

                     매동마을에 도착합니다.

           

 

                   ▼메동마을로 들어서자 천왕봉을 포함하여 하얀 눈으로 뒤덮힌 지리산 주능선이 보입니다. 

  

                   ▼일단 민박집을 구해야 하기에 마을어귀에 나와 계신 아주머니에게 물어보니 자기집으로 일행을 끌고 갑니다.

 

 

                   ▼민박집 안에서 죽치고 앉아 있기에는 이른 시각인지라 근처에 있는 실상사를 둘러보기로 합니다.

                     실상사는 매동마을 입구에서 약 30분 정도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늦은 시간이라서 그런지 매표소엔 아무도 없습니다.

 

 

                   ▼다리를 건너기 전 돌장승이 버티고 있습니다. 

 

 

 

                   ▼다리를 건너면서 씁쓸한 마음으로 천왕봉을 그저 바라만 봅니다.

 

                   ▼다리를 건너자 또 하나의 돌장승이 세워져 있습니다.

 

                   ▼실상사 입구에 도착합니다.

 

                   ▼실상사는 신라 흥덕왕 때 증각대사가 창건한 유서깊은 사찰이며, 다수의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초 천왕봉에 올랐을 때에는 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한다는 인쇄물이 보이더니,

                     이 동네에는 댐건설 반대운동이 한창인 모양입니다.

                     가만히 있는 지리산을 가지고 왜들 지랄인지 모르겠습니다. 

 

                   ▼실상사 안으로 들어섭니다.

 

 

 

                   ▼밑둥에서 가지가 옆으로 퍼진 반송입니다.

 

                   ▼실상사 석등(보물 제35호)

 

 

                   ▼실상사 3층석탑(보물 제37호)

                     이런 국보급 문화재가 울타리 하나 없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게 어째 불안합니다.

                     "들어오지 마세요"라고 적힌 나무쪼가리가 석탑과 석등을 지킬 수 있는 유일한 수단입니다.

                  

 

                   ▼17:01

                     일몰이 시작되려나 봅니다. 2009년 마지막 해넘이입니다.

  

  

 

 

 

 

  

                   ▼절꾼들이 절을 하는 동안 이곳저곳 돌아다닙니다.

 

                   ▼통시, 즉 해우소입니다.

 

                   ▼실상사에서는 이미 해가 넘어갔지만, 지리산 천왕봉은 아직 2009년 마지막 햇살을 받아 빛나고 있습니다. 

 

                   ▼지리산 천왕봉을 마주하고 있는 실상사...

 

                   ▼실상사에서 볼일을 마치고 나오자 2009년 마지막 달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마치 일출을 보는 듯..

                     어제가 보름인지라 달이 휘어청 밝습니다.

 

 

 

..

..

..

..

..

..

..

..

..

..

..

..

다음날..

 

 

                   ▼2010.1.1 06:40

                     아침 일찍 식사를 하고 지리산둘레길을 걷기 위해 민박집을 나옵니다.    

 

                   ▼작년에 왔을 때는 없었던 이정표입니다.

                     주말에는 타지에서 오는 사람들로 넘쳐난다는 매동마을...

                     살아 생전에 이런 일이 벌어질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는 주민들...

                     매동마을도 차츰 변해갈 것입니다.

 

                   ▼벽송사로 가기 위해선 빨간화살표가 지시하는대로 가야합니다.

 

                   ▼등구재로 향합니다.

 

 

 

 

 

  

 

                   ▼많은 산악회들도 지리산둘레길을 찾았을 것입니다.

                     평소 산길을 걸으며 이정표 역할을 했던 고마운 리본들이 오늘은 그저 쓰레기처럼 보입니다. 

 

 

                   ▼한참을 걸어와 하황마을로 내려갈 수 있는 갈림길입니다.

                     하지만 지리산길은 하황마을을 버리고 등구재로 곧장 이어집니다.

 

 ▼아름다운 전경이 펼쳐집니다.

 

 

 

                   ▼전에 보지 못했던 포장마차도 들어섰습니다.

 

 

 

 

 

 

 ▼눈으로 뒤덮힌 천왕봉...

 

 

 

 

 

 

 

 

 

 

                   ▼상황마을도 비껴갑니다.

 

 ▼산을 개간하여 일군 다랑이논입니다.

 

 

                   ▼무인상점...

                     등구령쉼터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홀로다방이 뭔지 가봤더니...

 

                   ▼화장실입니다.

 

                   ▼잠시 쉬면서 단체사진을 찍습니다.

 

 

 

 

                   ▼09:10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경계를 이루는 등구재를 넘어섭니다. 

 

 

                   ▼창원마을이 내려다 보입니다.

 

 

 

 

                   ▼09:48

                     창원마을에 도착합니다.

 

                   ▼점심식사를 하기에는 이른 시간인지라 지난번 왔을 때 점심을 먹었었던 윤원규씨 집을 외면하고 금계마을로 향합니다.

 

 

                   ▼일손이 부족했었는지..

                     아님 시간이 없었던지 고추가 그대로 매달려 얼어있습니다.

 

                   ▼고사리도..

 

 

 

 

 

 

 

 

                   ▼암반을 깎아 부처님을 새기고 있는 모양입니다.

                     완성되고 나면 얼마나 훌륭할진 몰라도 지금은 흉측하게 보입니다.

 

 

                   ▼금계마을로 들어섭니다.

 

 

 

 

                   ▼멀리 장엄하게 펼쳐진 지리산주능선이 보입니다.

 

 

 

 

 

                   ▼다리를 건너 의평마을로 들어갑니다.

 

 

                   ▼11:00

                     의평마을에 도착합니다.

                     의평마을을 지나면 마땅히 점심식사를 할 곳이 없기 때문에 이 근처에서 식사를 해결하기 위해 식당을 찾던 중...

 

                   ▼"추xx가든"이라는 식당이 눈에 들어옵니다.

                     하지만 식사가 안된다고 합니다. 대신 라면 끓여 주면 안되냐고 합니다.

                     장사도 하지 않는 집에서 길손들 배고플까봐 라면이라도 끓여 준다는 말에 미안하고 고맙고..그렇게 생각했는데...

                     라면을 먹는 도중 도토리묵을 시켜 먹을 것을 은근히 권유합니다.

                     팔아줄 생각에 하나를 시켰지만...조금 실망입니다. 아니 많이 실망입니다.

                     나오면서 계산을 하는데, 뒷통수를 맞았습니다. 생각보다 너무 비싸게 받습니다. 울화가 치밀어 오릅니다.

                     타지에서 온 사람들은 돈을 집에다 재놓고 뿌리고 다니는 줄 아는 모양입니다.               

 

                   ▼식당주인이 그렇게 부지런한 사람은 아닌 모양입니다.

                     개집 주위에는 개똥천지입니다.

                     게다가 개밥도 잘 안 주는지...귤 하나를 까 주었더니 환장을 하며 달려듭니다.

                     개가 불쌍합니다.   

 

                   ▼식당이라고는 유일하게 그 집 한군데 밖인 것 같은데...

                     어쨌던 새해 첫날부터 재수 더럽게 없습니다. 

                     식당이 그러하니 동네가 이상하게 보입니다.

 

 

                   ▼재수 똥 밟았다 생각하고 서암정사로 향합니다.

 

 

 

                   ▼13:00

                     서암정사에 도착합니다.

 

 

                   ▼실상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절꾼들이 절을 하는 사이 여기저기 돌아다닙니다.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소나무...

 

 

                   ▼6.25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벽송사를 재건한 원응스님이 발원하여 10여년간에 걸쳐 완성했다는데..

                     서암정사가 가지는 가피력은 둘째치고, 석굴법당을 비롯하여 수많은 불상 등 예술성은 가히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불교진리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대방광문입니다.

 

 

 

 

                   ▼극락세계를 형상화했다는 석굴법당..

 

                   ▼석굴법당에서 내려다본 풍경...

 

                   ▼연못에 얼어 붙어 있는 얼음도 예술입니다.

 

 

 

                   ▼서암정사 아래로 추성마을이 조망됩니다.

 

                   ▼서암정사를 빠져나와 벽송사로 향합니다.

 

                   ▼서암정사에서 벽송사까지는 포장도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산길을 통해서 벽송사로 가는 길이 있는 모양입니다.

  

 

 

 

                   ▼벽송사에 도착합니다.

 

 

                   ▼벽송사 목장승입니다.

 

 

                   ▼한국전쟁 때 빨치산 야전병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던 벽송사...

                     매동마을에서 금계마을까지를 "다랭이길", 의탄교를 건너 의평마을에서 벽송사를 지나 세동마을까지를 "산사람길"이라고 합니다.

                     옛날 빨치산을 산사람이라고 불렀는데, 그런 연유로 산사람길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반야심경이 새겨져 있습니다.

 

 

 

                   ▼시간관계상 벽송사를 끝으로 지리산둘레길 탐방을 마칩니다.

 

                   ▼벽송사 바로 아래에 휴게소가 있습니다.

 

                   ▼휴게소에서 약 10분쯤 내려오자 큰도로가 나옵니다.

 

                   ▼별로 가고 싶지는 않지만, 버스가 자주 다니는 의평마을로 다시 갑니다.

 

                   ▶의평마을에서 매동마을로 가기 위해선 마천까지 갔다가 마천에서 매동마을로 가는 버스로 갈아 타야 합니다.

 

-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gksf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