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저산

마산의 팔용산, 산과 물이 어우러진 낭만적인 산책길

산장 2013. 2. 22. 02:07

▶2013.02.09(토)

   산행코스: 탑골주차장-돌탑군락지-팔용산-암봉-봉암수원지-수원지제방-상사바위-불암사-창신고

   산행거리: 대략 8km

   산행시간: 약 4시간...휴식(30분) 포함

   날      씨: 맑음

 

 

    마산 양덕동에서 봉암동 쪽으로 뻗어있는 해발 328m의 팔용산은

    원래는 반룡산(盤龍山)이었는데,

    해방 이후 그 음이 변하여 오늘날에는 팔용산(八龍山)으로 불리다 보니

    하늘에서 여덟 마리의 용이 내려앉았다는 전설까지 덤으로 얻게 되었다.

    팔용산 돌탑은 이 산자락 양덕동에 거주하는 이삼룡씨가 1993년 3월23일부터 이산가족의 슬픔을 뼈저리게 느끼고

    돌 하나하나에 지극정성을 담아 남북통일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1,000기를 목표로 현재까지 962기를 쌓았다.

    이 돌탑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국내관광객은 물론 외국인까지 이곳을 찾는 등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명소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마산9경으로까지 선정되었다.

 

    이러한  팔용산을 늘상 소문으로만 들어오다가 이제서야 오르게 된다.

    마산에 내려갈 때마다 매번 한번 가봐야지 했는데...!!

 

 

 

                   ▼12:40

                     느지막하게 보따리를 챙겨 버스를 타고 한일로타리(노루페인트앞)에서 하차하여

                     어제 지도검색을 통해 확인한 바에 따라 팔용산의 들머리로 가장 널리 알려진 탑골주차장으로 이동합니다.

 

 

                   ▼노루페인트 앞에서 하차하여 한일로타리 쪽으로 발걸음을 옮기자

                     '팔용산돌탑'을 가리키는 팻말들이 나타나 팔용산을 처음 찾은 산객을 친절히 탑골주차장으로 안내합니다.

  

                   ▼정우맨션 버스정류소를 지나고..

 

                   ▼횡단보도를 건너 골목 안으로 들어서니..

 

                   ▼12:50

                     팔용산의 들머리가 되는 탑골주차장이 나옵니다.

 

                   ▼어디에서 올라야 되는지 주위를 둘러보다가 2기의 돌탑이 있는 쪽으로 다가서니..

 

                   ▼이정표와 함께 산으로 올라가는 2개의 등로와 마주합니다.

                     이정표를 보니 우측의 터널길이 '탑골 가는 길'이라 하여 그쪽으로 진행하기로 하고 

                     본격적인 산행에 앞서 늘상 하던 대로 스틱을 꺼내고 등산화끈을 조이는 등 산행준비를 합니다. 

 

                   ▼12:58

                     산행준비를 마치고 출발합니다.

 

                   ▼이정표의 '탑골 가는 길'인 우측의 터널을 향해 다가서자 

                     팔용산의 명물인 돌탑에 대한 기념비와 유래가 적힌 설명판이 세워져 있습니다.

 

 

 

 

                   ▼터널을 통과하자 목재계단길이 나오고..

 

                   ▼이내 돌탑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는데,

                     앞으로 나타날 엄청난 규모의 돌탑들로 인해 놀라 자빠질 수 있으니 주의하라는 경고판이 세워져 있습니다.

 

 

 

 

 

                   ▼팻말의 설명이 조금 썰렁하긴 하나 나름 재밌습니다.

 

                   ▼정비된 등로를 따라 완만한 오름길이 이어지다가..

 

                   ▼이정표와 함께 두 갈래 길이 나오는데 이번에도 우측이 돌탑 가는 길이라고 합니다.

 

                   ▼이정표의 지시에 따라 우측으로 발걸음을 옮기자 본격적인 돌탑군락이 시작됩니다.

 

 

 

                   ▼약수터도 나오고..

 

                   ▼경상남도의 모양을 닮았다는 바위도 나오고..

 

 

                   ▼신비의 역고드름이 있다는 안내판도 나오고...

 

                   ▼하지만 아쉽게도 날이 포근해서인지 역고드름은 전혀 눈에 띄질 않습니다.

                     일기예보에선 설연휴 동안 강력한 한파가 기승을 부릴 거라고 하지만,

                     이곳은 따뜻한 남쪽지방이라 그런지 별시리 춥다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신비의 역고드름 찾기를 포기하고 계속 돌탑 사이를 헤집고 진행합니다.

 

                   ▼정말 엄청난 규모의 돌탑군락입니다.

                     이 많은 돌탑들을 단 한 사람이 다 쌓아올렸다는 사실에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돌탑군락이 끝날 무렵..

 

                   ▼13:16

                     폐쇄된 약수터(먼등골)에 관한 안내판이 나오고.. 

 

                   ▼안내판을 지나자마자 운동시설이 마련된 쉼터가 나오는데..

 

                   ▼등로는 쉼터 바로 앞에서 우측으로 꺾이는 오름길로 이어집니다.

 

 

                   ▼쉼터 앞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잠시 올라가자...

 

                   ▼13:21

                      이정표와 함께 119구조목이 세워져 있는 사거리에 이르는데,

                      119구조목의 대가리부분에 현재 위치가 '탑골사거리'라고 적혀 있습니다.

                      탑골 0.25km, 마산교육청(右) 0.7km, 팔용산정상(左) 1.1km..  

 

                   ▼이정표의 안내에 따라 방향을 좌로 틀자

                     정상까진 더이상 길걱정을 할 필요가 없도록 정상으로 향하는 곧게 뻗은 일직선의 능선길이 이어집니다.

 

 

                   ▼그리 가파르지 않은 오름길이 이어지면서..

 

                   ▼통신탑이 세워져 있는 팔용산 정상부가 슬며시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고..

 

                   ▼정상부를 땡겨서..

 

                   ▼오름길에 뒤를 돌아보니..

 

                   ▼합포만이 내려다보이는데..

 

                   ▼무엇보다도,

                     합포만과 어우러져 우아한 자태로 솟은 무학산이 한폭의 그림으로 다가옵니다. 

 

                   ▼무학산 옆으로 우뚝 솟은 '고향의 봄'의 배경지인 천주산도 눈에 들어오고..

                     산과 바다가 어우러져 펼쳐지는 멋진 장관에 시선이 붙잡혀 발걸음이 쉽게 떨어지질 않습니다.  

 

                   ▼13:35

                     쉽게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어렵게 떼고 조금 더 진행하여 첫 번째 봉우리에 올라서니

                     조잡한 삼각점이 발견되면서 정면으로 팔용산 주봉의 모습이 통째로 시야에 들어옵니다.

 

 

                   ▼팔용산 정상 바로 아래에 고즈넉하게 짱박힌 불암사의 모습도 눈에 들어옵니다.

                     불암사는 나중에 정상을 넘어 봉암수원지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와서 잠시 둘러볼 예정이라 더욱 눈길이 갑니다.

                     불암사 우측에 있는 바위가 지도상에 표시된 상사바위인 듯..

 

                   ▼불암사와 상사바위를 땡겨서...

 

                   ▼봉우리에 서서 잠시 조망을 즐기다가 다시 팔용산 정상을 향해 발걸음을 옮깁니다.

 

                   ▼봉우리에서 잠시 내려가니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정상까진 그저 쭈욱 직진하면 되지만 그래도 습관적으로 카메라에 담고 진행합니다.

                     팔용산 정상까진 불과 0.65km..

 

 

                   ▼13:40

                     얼마 진행하지 않아 2개의 이정표가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좌측으로 경남아파트로, 다른 하나는 우측으로 불암사로 가는 길이 있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정표를 지나 몇 걸음 진행하자 나중에 합쳐질 거 같은 갈림길이 나오고..

 

                   ▼좌측은 봉우리를 우회하는 옆구리길인 듯하여 직진하는 오름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직진의 오름길을 따라 잠시 올라가니..

 

                   ▼우측으로 조망이 트이면서

                     멀리 진해의 장복산과 더불어 도드라진 봉우리 하나가 눈에 들어오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다름아닌 시루봉입니다.

 

                   ▼땡겨서..

 

                   ▼점점 가까워지는 팔용산 정상..

 

                   ▼얼마 안 가서 다시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도시에 둘러싸여 인근 주민들이 운동삼아 수시로 오르내리는 자그마한 산이다 보니 수많은 샛길들이 생긴 모양입니다. 

 

                   ▼정상까진 불과 0.42km..

 

                   ▼이정표를 지나자 다시 두 갈래 길이 나오는데,

                     좌측의 옆구리길은 어디로 샐지도 모르므로 거들떠보지도 않고 무조건 직진하는 오름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제법 가파른 오름길이 잠시 이어지더니,..

 

                   ▼돌탑이 나오고..

 

                   ▼13:54

                     돌탑을 지나 올라서자

                     이정표와 함께 팔용산 정상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정상석이 눈에 들어옵니다.

 

                   ▼팔용산 정상석을 먼저 카메라에 담고 주위를 둘러보니

                     해발 불과 328m의 작고 나즈막한 산에서의 조망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멋진 그림이 펼쳐져 모처럼만에 안구가 정화되는 듯합니다.

 

                   ▼천주산과 작대산은 손에 닿을 듯 가까이에 있고..

 

                   ▼멀리 창원의 봉림산(정병산)에서 비음산, 대암산, 불모산 등을 거쳐 진해의 천자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장쾌하게 펼쳐지고..

 

                   ▼벚꽃축제로 유명한 진해의 안민고개를 품고 있는 장복산도 가깝게 보이고..

    

                   ▼바로 아래로는 합포만이 내려다보이고..

 

                   ▼그리고 마산의 자랑인 무학산이..!!

 

     ▼창원의 봉림산(정병산)에서 진해의 천자봉까지 한방에 좌악..

 

                   ▼정상석 바로 아래에 있는 사각정자에서 점식식사를 하며 휴식을 취합니다.

 

                   ▼14:19

                     점심식사를 마치고 팔용산 정상으로 다시 올라와 이정표의 복지회관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점심식사를 했던 사각정자를 지나서 계속 직진하여 바로 봉암수원지로 내려갈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산행이 조금 부족한 듯하여 다시 정상으로 올라와 산길을 최대한 더 걸어 보기로 한 것입니다. 

 

                   ▼팔용산 정상에서 이정표의 복지회관 방향으로 내려서자 제법 가파른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다가..

 

 

                   ▼이내 완만해지면서 걷기 좋은 부드러운 산길로 바뀌고..

 

                   ▼14:27

                     이정표가 나타나는데, 우측으로 봉암수원지 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고 합니다.

 

                   ▼이정표를 무시하고 계속 부드러운 능선길을 따라 직진하여 진행합니다.

 

                   ▼호젓한 능선길이 얼마간 이어지다가..

 

                   ▼14:32

                     돌연 눈앞에 큼지믹한 바위 하나가 나타나는데.. 

 

 

                   ▼바위 좌측으로 길이 나 있습니다.

 

 

                   ▼바위를 지나 약간의 암릉길이 이어지는데

                     등산객의 안전을 위해 발디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앙증맞은 발판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14:34

                     커다란 바위를 지나 약간의 암릉길을 따라 나즈막한 봉우리에 올라서자

                     또 한번 조망이 트이면서 바로 앞에 운동시설이 설치된 쉼터가 나타납니다.

 

                   ▼지나온 팔용산 정상을 뒤돌아보고..

 

                   ▼마산의 무학산도 한번 더 눈에 담고..

 

                   ▼창원의 봉림산(정병산)에서 불모산을 거쳐 진해의 천자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도 한번 더 더듬어 봅니다. 

 

                   ▼간단히 조망을 마치고 계속 진행합니다.

 

 

                   ▼14:37

                     체육시설이 있는 쉼터를 지나 잠시 진행하니 좌우갈림길이 나오는데,

                     잠시 후에 합쳐질 거 같지만 혹시나 하는 생각에 좌측길을 버리고 우측의 오름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우측의 오름길을 따라 잠시 올라가니..

 

                   ▼넓은 공터가 있는 펑퍼짐한 봉우리에 이르고..

 

                   ▼봉우리에서 내려서자..

 

                   ▼결국 방금 전 갈라졌던 두 길이 다시 합쳐집니다.

 

 

                   ▼완만한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면서..

 

                   ▼14:45

                     다시 운동시설이 마련된 쉼터가 나오고..

 

                   ▼쉼터를 지나 몇 걸음 진행하자 다시 갈림길이 나오는데

                     이번에도 좌측 옆구리길을 버리고 우측의 오름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14:49

                     우측의 오름길을 따라 잠시 진행하니

                     또다시 벤치와 운동시설이 마련된 쉼터에 이르면서 등로가 둘로 나뉘는데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이정표에는 우측으로 가면 약수터에 이른다는 표시만 있을 뿐 좌측으로는 아무런 표시도 없습니다.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지도를 보니 봉암수원지로 내려가기 위해선 여기서 이정표의 약수터 방향으로 진행해도 되고,

                     좌측으로 조금 더 가다가 우측으로 꺾어 내려가도 되는 걸로 나타나 있습니다. 

 

                   ▼잠시 고민을 하다가 이정표를 무시하고 좌측으로 조금 더 진행해 보기로 합니다.

 

                   ▼완만한 내림길이 얼마간 이어지더니..

 

                   ▼14:53

                     또다시 벤치와 운동시설이 마련이 쉼터가 나오는데..

 

                   ▼이번에는 방금 전보다 조금 더 자세한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좌측으로는 '팔용동/동서식품', 우측으로는 '약수터', 계속 직진하면 지도상의 중봉에 이를 듯 보입니다. 

                     여기서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이정표의 약수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이정표의 약수터 방향인 우측으로 방향을 돌리자

                     산책길처럼 편안하고 반반한 등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등로를 따라 작은 계곡이 나타나기 시작하더니..

 

                   ▼14:59

                     이정표가 가리켰던 약수터가 나타납니다.

 

                   ▼약수터를 지나 여러 갈래의 길이 산만하게 나타나지만...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넓고 반반한 등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가다 보니 두 갈래 길이 나오는데,

                     좌측길 쪽에 계곡을 건너는 목재다리가 놓여 있길래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목재다리를 건너자 등로는 더욱 넓어지고..

 

                   ▼다시 계곡을 건너는 다리가 나오고...

 

                   ▼다리를 건너 잠시 진행하니..

 

                   ▼15:12

                     정자와 함께 드디어 봉암수원지의 모습이 드러납니다. 

 

                   ▼봉암수원지 앞으로 다가서니 안내도가 세워져 있는데,

                     안내도를 보니 수원지를 끼고 수원지제방까지 우측이든 좌측이든 어느 쪽으로도 돌 수 있습니다.

                   

 

 

                   ▼우측으로 갈까 좌측으로 갈까 잠깐 망설이다가..

 

                   ▼수원지 좌측으로 도는 게 더 나을 상 싶어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좌측으로 몸을 돌리자마자 '월명교'라는 이름이 붙은 다리가 나오고..              

 

 

                   ▼월명교를 지나자 수원지 옆으로 조성된 멋진 산책길이 이어집니다.

 

                   ▼수원지 둘레를 따라 조성된 산책길이 무척이나 한갓지고 호젓합니다.

                     유유자적 천천히 음미하며 진행합니다. 

 

 

 

                   

 

                   ▼쉼터 겸 전망대 역할을 하는 정자도 나오고..

 

 

                   ▼정자 위로 올라가서 잠시 주위를 둘러봅니다.

 

 

                   ▼휴식과 함께 전망을 마치고 다시 조용히 발걸음을 옮깁니다.

 

                   ▼방금 전에 지나온 정자

 

 

 

                   ▼다시 쉼터가 나오고..

 

 

                   ▼계속 수원지둘레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15:40

                     아쉽게도 수원지둘레길이 끝나는 수원지제방에 이릅니다.

                     여기서 그냥 직진하여 내려가면 마산수출자유지역 앞 큰 도로에 이르면서 그대로 산행이 끝나게 되지만,

                     애초에 계획한 대로 팔용산 정상 아래에 자리잡은 불암사와 상사바위를 둘러보기 위해 우측으로 방향을 돌려 다시 산으로 올라갑니다.

 

                   ▼우측으로 방향을 돌려 산 위에 설치된 지상공용기지국을 바라보며 수원지제방을 따라 진행합니다.

 

 

                   ▼제방을 따라 쭈욱 걸어가니 이정표가 나오면서 제방길은 산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길과 바로 연결됩니다.

 

                   ▼이정표는 팔용산 정상까지 0.75km라고 합니다.

 

                   ▼제방을 뒤로하고 다시 산길에 발을 올리자 가파른 오름길이 대기하고 있습니다.

 

                   ▼급한 오르막길로 인해 오늘 산행에 있어서 처음으로 이마에서 땀이 나는 듯.. 

 

                   ▼15:47

                     산으로 오르기 직전 수원지제방에서 보였던 지상공용기지국을 지나고..

 

                   ▼오름길은 계속 이어지는데..

 

                   ▼오름길이 팔용산 정상까지 곧장 이어질 듯 하더니..

 

                   ▼15:54

                     갈림길과 함께 완전히 뽀개진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여기가 불암사로 갈 수 있는 상사바위갈림길인 듯..

                     이정표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위'자가 상사바위를 말하는 것 같아 좌측으로 방향을 돌립니다.

 

 

                   ▼이정표 앞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돌리자

                     가팔랐던 오름길이 사라지면서 옆구리길이 한동안 이어집니다.

 

 

                   ▼16:01

                     옆구리길을 따라 진행한 지 약 6-7분쯤 옆구리길이 끝나면서 능선삼거리에 이르는데..

 

                   ▼상사바위로 추정되는 암봉이 우측에 버티고 있어 암봉을 향해 올라갑니다.

 

 

                   ▼급한 오름길이 이어지면서 로프도 나오고..

 

 

                   ▼16:04

                     가파른 오름길을 따라 힘겹게 올라서니

                     뭔가 이름이 붙어 있을 법한 큼지막한 바위 하나가 벼랑 위에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 

 

                   ▼저게 상사바위인가??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벼랑 위에 서 있는 큼지막한 바위를 뒤로하고 계속 발걸음을 옮기자

                     또다시 로프가 매달린 가파른 오름길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16:08

                     힘겹게 올라 오름의 끄트머리에 이르자

                     조망이 트이면서 현위치가 '상사바위'라는 것을 알리는 119구조목이 세워져 있는데,

                     부둣가에서나 보았을 법한 촛대처럼 생긴 2개의 콘크리트구조물도 함께 눈에 들어옵니다.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촛대처럼 생긴 콘크리트구조물 옆의 바위 위로 올라가자 멋진 조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먼저 조금 전 거닐었던 봉암수원지가 시원하게 내려다보이고..

 

 

                   ▼합포만과 함께 오늘 산행의 날머리인 창신고등학교도 내려다보이고..

 

                   ▼무학산은 어디서 봐도 늠름하기만 합니다.

 

                   ▼잠시 후에 들러게 될 불암사는 손에 닿을 듯 바로 지척에 있습니다.

 

                   ▼통신탑이 세워져 있는 팔용산 정상은 바로 뒤에 있습니다.

 

                   ▼16:14

                     조망을 마치고 불암사로 가기 위해 발걸음을 옮기는데 어디로 가야 할 지 애매합니다.

                     잠시 주춤거리다가 팔용산 정상 방향으로 박혀 있는 나즈막한 바위를 넘어서자 선명한 길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선명하게 길은 잘 나 있으나..

 

                   ▼불암사로 가기 위해선 팔용산 정상에 이르기 전에 좌측으로 흐르는 옆구리길이 나와야 하는데,

                     등로는 선명하게 그저 팔용산 정상만을 향하고 있습니다.

                     물론 팔용산 정상에 올랐다가 불암사로 가도 별 상관은 없지만,

                     이미 올랐던 정상을 다시 오른다는 게 조금은 우습기도 하고, 되도록이면 한번의 산행에서 중복되는 길은 피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16:19

                     상사바위에서 조망을 마치고 발걸음을 옮긴 지 약 5분쯤..

                     다행스럽게도 넓직한 공터가 나오면서 정상으로 향하는 길을 버리고 불암사로 직행할 수 있을 법한 좌측 옆구리길이 발견됩니다.  

 

                   ▼불암사로 안내하는 아무런 표시도 없지만,

                     느낌상 틀림없는 것 같아 망설이지 않고 과감히 방향을 돌려 좌측 옆구리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탑골주차장에서 팔용산 정상을 거쳐 봉암수원지에 이를 때까진 그렇게 이정표가 잘 박혀 있더니만,

                     수원지제방에서 다시 산으로 오르면서 뽀개진 이정표만 하나 보였을 뿐 제대로 된 이정표는 전혀 나타나질 않습니다.

 

                   ▼16:23

                     좌측 옆구리길을 따른 지 약 4-5분쯤 훼손된 무덤(?)이 나오더니..

 

                   ▼능선삼거리에 이르는데,

                     우측으로 진행하면 다시 팔용산 정상으로 이어질 거 같아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6:24

                     완만한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더니 마침내 바로 아래에 불암사가 있다는 안내판이 발견됩니다. 

 

 

                   ▼불암사는 기대했던 거와는 달리 고색창연과는 거리가 먼 작고 아담한 소박한 사찰입니다.

 

                   ▼일단 불암사로 내려갑니다.

 

 

 

 

                   ▼16:34

                     불암사를 뒤로하고 이제 하산을 합니다.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면서 우측 아래로 오늘 산행의 최종 목적지인 창신고가 아주 가깝게 내려다보이더니..

 

                   ▼16:40

                     창신고를 안내하는 이정표도 나타납니다.

 

                   ▼이정표의 지시에 따라 우측으로 방향을 돌려서 내려가자 작은 돌탑이 나오고.. 

 

                   ▼대나무숲길이 짧게 이어지더니..

 

                   ▼16:46

                     사각정자와 운동시설이 마련된 밤낭골쉼터라는 곳이 나옵니다. 

 

 

                   ▼밤낭골 쉼터의 정자 앞에서 고개를 좌측으로 돌렸더니 먼지털이용 에어건이 보이고..

 

 

                   ▼에어건이 있는 곳으로 다가가면서 약수터가 나와 물 한 바가지 받아 마시고..

 

                   ▼배낭과 바지가랭이에 묻은 흙도 털어내고..

 

                   ▼약수터와 에어건시설을 지나자 시멘트길이 쭈욱 이어지더니..

 

 

                   ▼16:53

                     마침내 산행의 종료를 의미하는 창신고등학교 건물 뒤편에 이르고..

 

 

                   ▼창신고 학생들 뒤를 따라가다 보니..

 

                   ▼17:03

                     자유수출지역 앞 큰 도로에 이르면서 오늘의 팔용산 산행이 완전히 종료가 됩니다.

 

                   ▼집으로..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