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完走)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5구간: 도래기재-화방재 Part 1

산장 2012. 8. 25. 12:28

▶2012.08.18(土)

   산행코스: 도래기재-임도#1-임도#2-구룡산-고직령-곰넘이재-신선봉-

                 차돌배기-깃대배기봉-부쇠봉-태백산장군봉(천제단)천제단-사길령매표소-화방재

   산행거리: 24.2km                    

   산행시간: 12시간22분...휴식(128분)/조식(28분)/중식(38분)/알바(30분) 포함

   날      씨: 흐림, 중간에 비

 

 

    어제 친구를 만났다.

     볼일이 있어 인천에 왔는데 시간 있으면 나와서 소주나 한 잔 하잔다.

     유봉(有朋)이 자원방래(自遠訪來)하니 불역열호(不亦悅乎)아라..!!

     집 근처에 있는 보쌈집에 들어가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 보니 백두대간에 대한 얘기가 나왔다.

      친구: 야, 백두대간을 왜 하냐?

      나: 글쎄..!!

     나는 답변을 제대로 할 수가 없었다.

     아직 산행초보인 그에게 산자분수령이니 어쩌니 하며 장황하게 떠들어대는 것도 그렇고..

     무엇보다도,

     그 질문은 나 스스로에게도 가끔은 던지는 질문이기에 '산이 거기 있어 산에 오른다'라는 식의 농담 섞인 말로 얼버무릴 수밖에 없었다.

     친구와 헤어지고 집으로 돌아가면서 큰재-지기재-화령재 구간을 진행하면서 하룻밤을 묵었던 화령장여관에 남겨진 어느 대간산행객의 글귀가 생각났다.

     '대간이 끝날 때쯤 대간을 해야 했던 근사한 이유가 하나쯤 생겨나지 않을까'라는..!!

      

 

                   ▼2012.08.17 21:23

                     동서울터미널에서 봉화를 거쳐 춘양으로 가는 막차를 타고 춘양터미널(춘양공용버스정류장)에 도착..

 

                   ▼춘양터미널 옆에 있는 기사식당에서 저녁식사를 하고

                     근처에 있는 어느 모텔로 들어가 내일의 대간산행을 위한 여장을 풉니다.

 

 

::

::

::

::

::

::

::

::

 

 

                   ▼2012.08.18 05:19

                       새벽 04시30분에 맞춰 놓은 휴대폰의 알람소리에 기상하여

                       대충 샤워를 하고 어제 약속을 한 택시기사와 모텔 앞에서 만나 택시를 타고 도래기재에 도착합니다.

 

                   ▼이번 구간의 들머리인 생태이동통로 옆에서 스틱을 꺼내고 등산화끈을 조이는 등 산행준비를 합니다. 

 

                   ▼산행준비를 마치고 막 출발하려는 순간,

                     승용차 한 대가 도래기재에 스르르 멈춰 서면서 운전자와 서로 눈이 마주칩니다.

                     이 시간에 여기에서 차를 세울 사람은 대간산행객뿐..

                     어디로 가냐고 물었더니, 나와 마찬가지로 화방재까지 간다고 합니다.

                     "그럼 같이 올라가시죠.."했더니,

                     "옷도 갈아입어야 되고 배낭정리도 해야 되고 시간이 좀 걸리니 일단 먼저 출발하시죠. 뒤따라 가겠습니다."라고 합니다.

 

                   ▼05:29

                     이번 구간은 그렇게 시작됩니다.

                     올라야 할 첫 번째 산인 구룡산까지는 5.54km..

 

                   ▼이정표를 지나자 목제계단길이 나오고...

 

                   ▼곧장 가파른 오름길로 이어집니다.

 

                   ▼가파른 오름길이 약 5분여 이어지다가 완만해지고.. 

 

                   ▼가팔라졌다 완만해졌다를 반복하며 고도를 조금씩 높여갑니다.

 

                   ▼지난 구간에서 보았던 생태조사용 장비가 이번 구간에서도 발견됩니다.

 

                   ▼05:43

                     가팔라졌다 완만해졌다를 반복하며 고도를 높이던 마루금은

                     119구조요청표시목(3-1)이 세워진 어느 능선봉에 이르면서 정점을 찍고 내림길로 이어집니다.

 

                   ▼어제 버스가 영주로 들어서고 봉화를 지날 때쯤

                     정말 양동이로 들이붓 듯 비가 억수같이 쏟아져 오늘 산행은 물 건너 갔다 싶었는데..

                     다행히 비록 안개가 자욱하게 끼여 흐릿하지만 비는 더이상 내릴 것 같지 않아 보입니다.

 

                   ▼내림길은 얼마 못 가 다시 오름길로 이어지고..

 

 

                   ▼05:53

                     오름길을 따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이번에도 119구조요청표시목(3-2)이 세워져 있습니다.

 

                   ▼지도상의 '920봉'이 아닐까라는 짐작을 하고 봉우리에서 내려갑니다.

 

                   ▼완만한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다가..

 

                   ▼전방에 올라야 할 나즈막한 봉우리가 스물스물 나타납니다. 

 

                   ▼"저게 920봉인가?"라는 생각을 하며 봉우리를 향해 올라가니..

 

                   ▼봉우리의 느낌도 없이 흐지부지 내림길로 이어지는데..

 

                   ▼06:03

                     약간의 오르막길이 나오면서 지도상의 첫 번째 임도에 당도합니다.

                     산행을 시작한 지 불과 30분 정도 지났는데 벌써부터 몸이 축축 쳐지는 듯..

 

                   ▼마침 임도에는 쉬었다 가라고 유혹하는 벤치가 마련되어 있어

                     잠시 배낭을 내려놓고 물을 마시며 휴식을 취합니다.               

 

                   ▼벤치에 앉아 있으니

                     대간의 길목을 지키는 파수꾼인 양  한 그루의 금강소나무가 늠름한 기상으로 서 있어 산객의 시선을 한동안 빼앗습니다.

 

 

                   ▼06:13

                     휴식을 마치고 다시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목재계단을 따라 올라서자 목재보행로가 잠깐 나오고..

 

                   ▼목재보행로를 지나 순수 산길이 이어지면서 119구조요청표시목(3-3)이 나오고..

 

                   ▼119구조요청표시목(3-3)을 지나 오름길이 꾸준하게 이어지다가 어느 순간 제법 가팔라지는 듯하더니..

 

                   ▼06:21

                     2개의 벤치가 놓여져 있는 능선상의 이름 없는 봉우리에 올라섭니다.

 

                   ▼능선봉에서 바로 내려갑니다.

                     진행하면서 지도를 보니 구룡산까지는 한 줄의 굵은 선만 그어져 있을 뿐

                     구룡산 직전의 1256봉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숫자봉조차 표시되어 있질 않습니다.

 

                   ▼완만한 능선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올라야 할 봉우리를 앞두고 119구조요청표시목(3-4)이 나오고..

 

                   ▼다시 봉우리를 향한 오름길이 서서히 시작됩니다.

 

 

                   ▼오름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봉우리에 다가설 무렵

                     등로 양옆을 화사하게 수놓은 수많은 며느리밥풀꽃들이 대간길을 걷는 산객을 열렬히 환영합니다.

                     마치 선거철에 횡단보도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알바아줌마들처럼...

 

                   ▼비록 오르막이지만 그리 싫지만은 않은 며느리밥풀꽃능선.. 

 

                   ▼06:32

                     며느리밥풀꽃능선을 따라 아무런 이름도 없는 능선봉에 올라서고..

 

                   ▼완만한 내림길이 이어집니다.

 

                   ▼이번 구간도 지난 구간처럼 조망이 트이는 지점이 없는지 답답한 숲길이 계속 이어집니다.

                     거기에다 시간이 지날수록 안개는 더욱 더 짙어지기만 하고..

                     빨리 눈앞을 가리는 안개를 단번에 거둘 수 있는 해가 나왔으면..

 

                   ▼비록 이름은 모르지만,

                     예쁜 야생화가 이따금 나타나 시선을 끌며 산객의 답답한 마음에 작은 위안을 줍니다. 

 

 

                   ▼약간의 오름길이 나오고..

 

                   ▼06:37

                     간단한 오름길을 따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이번에도 119구조요청표시목(3-5)이 박혀 있습니다. 

 

                   ▼봉우리에 올랐으니 내림길이 이어지고...

 

                   ▼내림길은 얼마 못 가서 오름길로 이어지고...

 

                   ▼오름길도 얼마 못 가서 편안한 능선길로 바뀝니다.

 

                   ▼편안한 능선길이 얼마간 이어지다가 다시 오름길이 나오고..

 

                   ▼06:45

                     오름길을 따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119구조요청표시목(3-6)이 박혀 있는 헬기장입니다.

                     헬기장에선 길이 둘로 나뉘는데, 마루금은 119구조요청표시목이 박혀 있는 급좌측으로 꺾여서 이어집니다.

                     대간리본들이 매달려 있지 않다면 알바의 나락으로 떨어져 허우적거릴 수도 있을 거란 생각도 듭니다. 

 

                   ▼머뭇거리지 않고 헬기장봉에서 바로 내려갑니다.

 

                   ▼헬기장봉에서 잠시 내려가니 신갈나무팻말이 나오는데..

 

                   ▼신갈나무팻말을 지나면서 제법 가파른 내림길이 이어집니다.

 

                   ▼가파른 내림길은 펑퍼짐한 안부에 이르고..

 

                   ▼다시 오름길..

 

                   ▼06:54

                     오름길은 길게 가지 못하고 2개의 벤치와 119구조요청표시목(3-7)이 박힌 능선봉에 이르고..

 

                   ▼다시 내림길..

 

                   ▼누가 능선 아니랄까 봐 짧달막한 오르내림이 수차례 이어집니다.

 

                   ▼다시 며느리밥풀꽃능선길이 나오고..

 

 

                   ▼등로 옆 비탈면을 가득 채운 며느리밥풀꽃이 장관을 이룹니다.

 

                   ▼어느 순간 오름도 내림도 없는 편안한 능선길이 이어지고..

 

                   ▼07:01

                     별 도움은 안 되지만 119구조요청표시목(3-8)은 주기적으로 나타납니다.

 

                   ▼119구조요청표시목을 지나 잠시 진행하니..

 

                   ▼07:05

                     지도상에 표시된 두 번째 임도가 나타납니다.

                     임도에는 대간산행객들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아늑한 정자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정자 안에 들어가 버너와 코펠을 꺼내 라면을 끓여 주먹밥과 함께 아침식사를 합니다.

 

                   ▼아침식사를 하고 있는 동안 아까 도래기재에서 출발하기 전에 만났던 산님이 "맛있겠습니다"라며 임도로 내려옵니다.

                     이 산님과는 한동안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다가 결국 어느 순간부터 마지막 화방재에 도착할 때까지 동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07:33

                     아침식사를 마치고 보따리를 챙겨 다시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올라야 할 구룡산 정상까진 1.56km..

 

                   ▼마루금은 임도 좌측에 있는 목재계단길로 이어집니다.

 

                   ▼목재계단으로 다가서면서 하늘을 보니

                     고맙게도 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열리려는 듯..  

 

 

                   ▼두 번째 임도를 지난 이후부턴 오르막의 연속입니다.

 

                   ▼07:38

                     별 도움도 못 되는 119팻말은 여전히 나타나고.. 

 

                   ▼제법 힘겨운 오름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구룡산 정상을 향한 본격적인 오름짓이 시작되는 듯..

 

                   ▼밝은 부분이 나타나 저 끄트머리에 이르면 잠시 한숨을 돌릴 수 있는 내림길이 이어지겠지 싶었는데...

 

                   ▼하지만 고도를 전혀 낮추지 못 하고..

 

                   ▼힘든 오름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오늘은 웬일인지 유난히 몸이 무거운 게 산행을 하기 싫을 정도로 의욕마저 뚝뚝 떨어집니다.

                     이제 시작에 불과한데, 앞으로 가야 할 일이 막막하기만 합니다.

 

                   ▼07:54

                     오름길이 시종일관 이어지다가 119구조요청표시목(3-10)이 나오고.. 

 

                   ▼119구조요청표시목(3-10)을 지나 완만한 등로가 잠시 이어지다가..

 

                   ▼잠시 앉았다 가라고 유혹하는 벤치가 나옵니다.

                     하지만 양심이 있지, 쉰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몸이 무겁고 산행의욕이 떨어진다고 해서 무조건 쉴 수는 없는 일..

                     무거운 발걸음을 이끌고 계속 진행합니다

 

                   ▼벤치를 지나 오름길은 계속 이어지는데,

                     방금 전까지만 해도 햇빛이 언뜻언뜻 비치더니 언제 그랬냐는 듯 순식간에 자욱한 안개가 온 산을 덮칩니다.

 

                   ▼어느 봉우리에 이를 무렵

                     힘들게 오른 보람도 없이 마루금은 봉으로 직접 이어지지 않고 우측 옆구리길이 나오면서 우측으로 서서히 꺾이며 이어집니다.

 

                   ▼마루금이 우측으로 서서히 꺾이며 잠시 한숨을 돌릴 수 있는 완만한 등로가 이어지다가..

 

                   ▼08:04

                     다시 119구조요청표시목(3-11)이 나오면서 또다시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또다시 옆구리길이 나오면서 잠시 한숨을 돌리고..

 

                   ▼약간의 내리막도 나오고..

 

                   ▼구룡산 정상에 다가서려는 듯..

                     안 보이던 바위도 덤성덤성 나타나면서 오름길이 다시 시작되더니..

 

 

                   ▼08:18

                     드디어 구룡산 정상에 도착합니다. 

 

                   ▼구룡산 정상 역시 헬기장입니다.

                     헬기장에 철퍼덕 주저앉아 물을 마시며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두 번째 임도에 세워져 있던 구룡산의 유래에 관한 설명판입니다.

                     읽어 보니 웃기지도 않습니다.

                     어느 아줌마가 용이 승천하는 걸 보고 '뱀 봐라"하면서 꼬리를 잡아당겼더니 용이 떨어져 뱀이 되었답니다.

                     전설은 전설...

 

                   ▼온통 운무로 뒤덮혀 하얀색만 보일 뿐

                     맑은 날이면 전망이 좋을지 나쁠지조차 알 수가 없습니다.

 

                   ▼단지 구룡산 정상의 헬기장을 온통 노란색으로 수놓고 있는 이름 모를 야생화만 눈에 들어올 뿐..

 

                   ▼08:28

                     휴식을 마치고 구룡산 정상에서 내려섭니다.

                     태백산까지는 14.2km..

 

 

 

                   ▼08:35

                     구룡산 정상에서 약 7-8분쯤 내려오니 119구조요청표시목(5-28)과 함께 벤치가 나오고..

 

                   ▼내림길에 생전 처음 보는 희안한 모양의 야생화가 발견되어 잠시 주춤..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면서..

 

                   ▼08:45

                     다시 119구조요청표시목(5-27)이 나오고..

 

                   ▼08:48

                     119구조요청표시목(5-27)을 지나 조금 더 내려가니

                     두 번째 임도에서 라면을 먹고 있는 동안 먼저 출발했던 산님이 휴식을 취하고 있는데,

                     지도상의 고직령에 도착한 것입니다. 

 

                   ▼우측으로는 '향이동'으로의 하산길이 있고,

                     가야 할 곰넘이재까지는 3.65km라고 합니다. 

 

                   ▼08:51

                     잠시 산님과 이야기를 나눈 후 고직령을 뒤로하고 계속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다시 오름길이 시작되고...

 

                   ▼08:57

                     하지만 오름길은 그리 오래 가지 않습니다.

                     봉의 느낌도 없는 봉 하나를 수월하게 올라 내려가면서 119구조요청표시목(5-26)이 나오고..

 

                   ▼편안한 내림길..

 

                   ▼09:03

                     다시 119구조요청표시목(5-25)을 만납니다.

                     119구조요청표시목에 어디까지 얼마 남았다는 거리정보라도 있었으면 좋으련만..

 

 

                   ▼진행하기에 별 부담이 없는 편안한 등로가 한동안 이어집니다.

 

                   ▼하지만 편안한 등로에도 불구하고

                     시야를 가리는 두터운 안개에다 시종일관 별다른 특징 없는 답답한 숲길이 이어져 슬슬 지루함도 느껴집니다.

 

                   ▼09:11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좌측으로의 샛길이 발견됩니다.

 

                   ▼나름 선명한 좌측 샛길..

 

                   ▼"과연 이 첩첩산중의 오지에서 저 샛길을 이용하는 사람이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며 서너 걸음 진행하니 119구조요청표시목(5-24)이 나오고...

 

                   ▼119구조요청표시목을 지나 잠시 진행하니

                     산객의 눈을 즐겁게 하는 며느리밥풀꽃능선이 다시 나타납니다.

 

 

                   ▼오랜만에 산죽도 나오고..

 

                   ▼좌측 옆구리대간길도 나오고..

 

                   ▼09:20

                     별다른 특징 없이 완만하게 오르락내리락하다가

                     119구조요청표시목(5-23)이 나오면서 갑자기 제법 가파른 오름길이 시작되는데..

 

 

                   ▼하지만 오름길은 그지 오리 가지 못 하고,

                     이번에도 봉우리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좌측 옆구리를 따라 이어지면서 내림길이 시작되더니..

 

                   ▼09:22

                     내림길을 따라 잠시 진행하자 이정표와 각종 안내판이 세워져 있는 넓직한 안부로 떨어지는데,

                     다름아닌 지도상의 곰넘이재에 도착한 것입니다.

                     진행을 멈추고 벤치에 앉아 배낭에서 비스켓을 꺼내 씹으며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이정표의 기둥에는 '곰넘이재'란 고개이름 대신 '참새골입구'라고 적혀 있습니다.

                     산밑이 입구이므로 차라리 '참새골정상'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텐데..  

 

                   ▼다행히 친절하게도 곰넘이재의 유래에 관한 설명판이 세워져 있습니다.

 

                   ▼곰넘이재 좌측의 모습

 

                   ▼곰넘이재 우측의 모습

 

                   ▼09:35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지도를 보니 이제 올라야 할 봉우리는 신선봉... 

 

                   ▼곰넘이재를 뒤로하고 계단길을 따라 올라가자 넓직한 임도 같은 방화선길이 시작됩니다.

                     보유한 지도에는 구룡산 정상을 지나면서 방화선이 시작된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구룡산 정상을 지나 한참을 가도 방화선길이 나오지 않아 약간은 의아했던 게 사실입니다.                    

 

                   ▼경기북부의 산에서만 보던 방화선길을 여기서도 보게 될 줄이야..

 

                   ▼09:41

                     119구조요청표시목(5-22)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어김없이 나타납니다. 

 

                   ▼임도처럼 넓직하니 편안해 보이는 방화선길..

                     하지만 눈만 편했지 두 다리는 그다지 편안하지 않습니다.

                     방화선길도 롤러코스트의 레일처럼 오르락내리락거리며 이어집니다.

 

                   ▼09:51

                     방화선길에도 잠시 쉬었다 가라고 나무의자가 마련되어 있고.. 

 

 

 

                   ▼오르락내리락거리며 방화선길이 생각보다 훨씬 길게 이어집니다.

 

                   ▼비록 안개가 시야를 가리지만,

                     모처럼만에 답답한 숲길에서 벗어난 것 같아 속은 좀 후련합니다.

 

 

                   ▼은하철도999가 지나다닐 것만 같은 레일이 박힌 방화선길도 나옵니다.

 

 

 

                   ▼10:00

                     시원한 방화선길이 한참이나 이어지다가 119구조요청표시목(5-20)을 지나자..

 

                   ▼넓직한 공터처럼 길이 확 넓어지더니..

 

                   ▼방화선길이 끝나고 본연의 좁은 숲길이 시작됩니다.

 

                   ▼숲길을 따라 잠시 진행하니 등로 좌측에 자리잡은 묘지 하나가 눈에 들어옵니다.

                     어인 연유로 이 깊은 산중에 묘를 썼는지? 성묘하러 올려면 제법 애를 먹을 듯한데..

                     허기사 넓직한 방화선길이 묘지 직전까지 이어져 있으니 편안하게 오토바이를 타고 와도 무방할 듯..

                     그런데 여기서 왜 갑자기 '오토바이'라는 단어가 '짜장면'이란 단어로 연결되는지..??

                     사실 여름철이라 입맛도 없고, 배낭도 무겁고..

                     멀어서 짜장면 한 그릇은 안 되고 최소한 탕수욕은 시켜야 된다고 할지라도 시켜 먹을 수만 있다면야...

 

                   ▼시켜 먹을 수 있다면야...

                     MSG가 잔뜩 들어가 먹고 나면 속이 니글니글한 짜장면 대신 다른 밥종류를 시켜 먹을 것입니다.

                     또 멀어서 면이 탱탱 불어서 올 텐데, 그렇다면 잡채밥, 아님 송이덮밥..?

                     각설하고..ㅋ

                     묘지를 지나 오름길이 쭈욱 이어집니다.

                     이제 신선봉을 향한 본격적인 오르막길이 시작되려나 봅니다. 

 

                   ▼산죽의 행렬도 나타나고.. 

 

 

 

                   ▼10:07

                     숨가쁜 오름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봉우리 하나를 넘어서는지..

 

                   ▼내림길이 나오고..

 

                   ▼내림길은 이내 다시 오름길로 바뀝니다.

 

                   ▼급기야 가파른 계단오름길과 함께 밧줄까지 등장하고..

 

                   ▼씩씩거리며 힘들게 올라가고 있는데,

                     무슨 영문인지 나보다 훨씬 앞서가고 있던 산님이 위에서 도로 내려오고 있는 것입니다.

                     왜 도로 내려오시냐고 물었더니, 오히려 "어..귀신에 홀렸나!!"하며 황당하다는 표정입니다. 

 

                   ▼이유인 즉슨,

                     신선봉에 도착하여 잠시 쉬었다가 내려가는데 길을 잘못 잡았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어떻게 올라가던 길로 도로 내려올 수 있었을까..??

                     일단 신선봉에 도착해 보면 알겠지 싶어 계속 진행합니다.

 

                   ▼10:17

                     급한 오르막을 올라 신선봉 정상에 다가서니 먼저 묘지 하나가 눈에 들어오는데,

                     마루금은 급우측으로 거의 U턴을 하듯 꺾이며 이어지고 있어 아차 하면 왔던 길로 도로 내려갈 수도 있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가파른 오르막을 따라 정신 없이 올라와서 넋 놓고 휴식을 취하다가 그럴 수도 있고,

                     아무 생각 없이 묘지를 지나 계속 직진하여 진행하다가 길이 없어 되돌아오면서 그럴 수도 있고..

 

                   ▼그건 그렇고..

                     보통 신선봉이라 하면 신선놀음하기 좋을 정도로 탁월한 조망이 있어 그런 이름이 붙여지는 게 대부분인데,

                     이곳 신선봉은 그러한 조망과는 전혀 무관하게 스스로 신선이 된 망자가 누워 있어서 그런 이름이 붙여진 듯합니다.

 

 

 

To be continued...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5구간: 도래기재-화방재 Part 2에서 계속...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