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完走)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18구간: 배너미평전-이화령 Part 2

산장 2012. 5. 18. 17:58

▶2012.05.05(土)

   산행코스: 배너미평전-963봉(사선봉)-이만봉-곰틀봉-사다리재-981봉-평전치-백화산-황학산-조봉-이화령

   도상거리: 14.55km

   접속거리: 2.9km(은티마을--▷배너미평전)

   산행시간: 8시간17분...휴식(67분)/중식(15분)/접속(70분) 포함

   날      씨: 대체로 맑음

 

 

   07:25  은티마을(마을표지석)

   08:42  시루봉갈림길

   09:05  963봉(사선봉)...........휴식(08분)

   09:53  이만봉.....................휴식(16분)

   10:24  곰틀봉

   10:41  사다리재..................휴식(09분)

   11:29  뇌정산갈림길

   11:48  평전치

   12:15  1012봉

 

 

                   ▼12:38

                     드디어 백화산 정상에 도착합니다.

 

 

                   ▼아쉽게도 백화산 정상은 나무로 둘러싸여 별다른 조망은 없습니다.

                     별 볼 일 없는 조망은 일찌감치 접어놓고 넓적한 돌멩이에 주저앉아 간식을 먹으며 휴식을 취합니다.          

 

                   ▼12:53

                     긴 휴식을 마치고 백화산 정상에서 내려갑니다.

                     이제 올라야 할 산은 황학산..

 

                   ▼백화산 정상에서 내려가자 마자 헬기장이 나타나고..

 

                   ▼헬기장을 지나자 아무런 글씨도 적혀 있지 않은 훼손된 이정표가 나타납니다.

                     비록 이정표가 별시리 필요는 없지만,

                     훼손되어 방치된 이정표를 보면 갈 길이 먼 대한민국의 수준을 보는 듯하여 씁쓸한 마음이 듭니다.

 

 

                   ▼훼손된 이정표를 지나자 또 다시 현호색이 떼거지로 나타나 산객의 발걸음을 붙잡습니다.

 

                   ▼다시 접사를 시도하지만, 오늘따라 유난히 초점이 잡히지 않아 화딱지만 납니다.

                     별로 급할 거도 없는데..

 

                   ▼오늘은 현호색 단체사진 찍는 날이라 생각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13:04

                     백화산 정상에서 평온하고 완만한 내림길이 줄곧 이어지다가

                     정면으로 올라야 할 암봉이 나타나면서 서서히 거친 암릉길이 시작됩니다.

 

                   ▼로프내림길이 나오고..

 

                   ▼편한 길이 잠시 이어지다가..

 

                   ▼암봉을 향한 오름의 암릉길이 시작됩니다.

 

                   ▼거대한 암릉을 우회하여 우측 아래로 등로가 나 있고..

 

 

                   ▼결국은 암봉에 올라서도록 로프가 나타납니다.

 

                   ▼13:09

                     로프를 타고 암봉에 올라서자

                     산객의 시선을 붙잡는 멋진 전망이 펼쳐져 발걸음을 절로 멈추게 만듭니다.

 

                   ▼먼저 방금 전에 지나온 백화산이 우뚝하게 솟아 있고..

 

                   ▼백화산에서 981봉을 지나 이만봉까지 지금껏 지나왔던 대간마루금이 시원하게 펼쳐집니다.

 

 

                   ▼분지리를 감싸 안 듯 품고 있는 백두대간..

 

 

이러한 지형적인 탓에 풍수지리학적인 면에서

분지리는 여성의 가장 은밀한 부분에 곧잘 비유되곤 한다.

음기가 센 형국의 지세다 보니 마을에는 음양의 조화를 맞추기 위한 남근석들이 많다고 하는데,

특히 흰두뫼마을은 분지리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어

여성의 은밀한 부분 중에서도 가장 민감한 곳에 해당된다는 주장이 

질펀한 농담을 즐기는 대간꾼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다.

 

 

 

                   ▼멀리 내일 올라야 할 조령산도 이제 시야에 들어오고..

 

                   ▼암봉을 지나 너덜한 암릉길이 조금 더 이어지다가..

 

                   ▼너저분한 암릉을 우회하여 좌측으로 등로가 나 있는데..   

 

                   ▼암릉을 우회하자 편안한 흙길이 나타납니다.

 

 

                   ▼이제 거친 암릉길이 끝나고,

                     오늘의 산행종점인 이화령까지 부드러운 능선길만이 길게 이어질 듯.. 

 

                   ▼13:16

                     편안한 흙길을 따라 약 3-4분쯤..

                     넓직한 헬기장이 나옵니다.

 

                   ▼헬기장을 지나 부드러운 능선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고철덩어리나 다름없는 이정표가 다시 나타나고..

 

                   ▼내림길이 나타나지만 내림길마저도 부드럽게 이어집니다.

 

                   ▼산세가 한순간에 요술을 부린 듯..

                     믿기지 않을 정도로 편안한 마루금이 계속 이어집니다.

 

 

                   ▼오름길이 나타나지만 오름길마저도 완만하고 부드럽게 이어집니다.

 

                   ▼13:26

                     짧게 올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길이 둘로 갈리는데,

                     대간리본들은 일제히 산객을 좌측으로 진행하도록 인도합니다.

                     지도상의 904봉을 지나는 듯한데..

                     워낙 완만하게 오른 탓인지 봉우리라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904봉으로 추정되는 봉우리에서 내려가면서

                     전방으로 올라야 할 봉우리가 눈에 들어오지만 이번 역시 그다지 부담스럽게 보이진 않습니다.

 

 

                   ▼평온한 마루금은 계속 이어지고..

 

 

 

                   ▼노란 제비꽃이 뗴거지로 모여 있길래 눈길 한 번 주고 진행합니다.

 

                   ▼개별꽃도 발견되고..

 

                   ▼서서히 봉우리로 향하는 오름길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진행하기에 전혀 부담이 없는 오름길..

 

                   ▼13:36

                     봉우리에 올라선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로 편안한 오르막이 이어지더니

                     느닷없이 눈앞에 정상석이 나타나는데, 다름아닌 황악산 정상에 도착한 것입니다.

 

 

                   ▼뒤를 돌아보니 백화산 정상은 어느새 저만치 멀어져 있습니다.

 

                   ▼황학산 정상에서도 길이 두 갈래로 갈리는데,

                     가야 할 방향만 알고 있다면 굳이 대간리본이 안내하지 않더라도 마루금은 좌측이라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3:38

                     황학산 정상에서 별반 할 일이 없으므로 쉬지 않고 계속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여전히 부드러운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13:45

                     황학산 정상에서 내려간 지 약 7-8분쯤..

                     이정표가 나타나는데 좌측으로 분지리의 흰두뫼로 내려가는 길이 있습니다.

 

                   ▼이정표를 지나 완만한 오름길로 이어지고..

 

 

                   ▼오름길을 따라 쭈욱 올라오니 결국 합쳐지는 두 갈래 길이 나오고..

 

                   ▼오름길이 조금 더 이어지면서 어느 봉우리에 올라서는데..

 

                   ▼13:52

                     뭔가를 알리려는 듯 여러 대간리본들이 매달려 있습니다.

                     지도상의 862봉에 도착한 듯.. 

 

                   ▼계속 진행합니다.

 

                   ▼아침에 은티마을에서 올라와 대간마루금에 접속했을 때 만났던 초지가 다시 나타납니다.

 

                   ▼마치 산책길처럼 편안한 능선길이 길게 이어지지만 결코 지루하지 않습니다.

                     선답자들의 산행기를 통해 백화산을 지나면 이화령까지 편안한 마루금이 이어진다는 사실은 알았지만

                     이렇게나 평화로운 길이 기다리고 있을 줄이야..!!

 

                   ▼마치 평전처럼 등로 좌측에 넓게 형성된 파릇한 초지가 너무나 아름답습니다. 

 

 

                   ▼14:03

                     862봉으로 추정되었던 봉우리에서 약 10분쯤..

                     두 갈래 길이 나타나는데..

 

                   ▼대간길은 직진이지만, 우측으로 들어서니 멋진 전망지점이 있습니다.

                     지도상에 표시된 '전망대'인 듯..

 

                   ▼전망대에 서니 조령산의 암봉들과 주흘산이 먼저 시선을 붙잡고..

 

                   ▼오늘 하룻밤을 머물게 될 문경읍이 내려다보입니다.

 

                   ▼산책길 같은 판타스틱한 숲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분지리를 사이에 두고 양쪽 대간마루금에 초록의 물감을 발라 접었다 펼친 듯..

                     아침에 대간마루금에 접속하여 줄곧 만났던 초지가 분지리 건너편의 능선길에서 거의 흡사하게 나타나니

                     신이 만든 거대한 데칼코마니작품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14:13

                     전망대에서 다시 10분쯤..

                     등로 우측에 형성된 넓직한 웅덩이가 발견됩니다. 

 

                   ▼웅덩이에다 싸구려 스틱을 빠뜨리면  

                     K2나 밀레와 같은 고급 브랜드의 스틱으로 바꿔 줄 산신령이 나타나지는 않을지..??  

 

 

                   ▼내일의 험한 조령산구간을 앞두고

                     잠시나마 숨을 고르며 마음 편하게 진행하라는 그런 보너스구간이라도 되는 듯..  

 

                   ▼긴장감이 완전히 사라진 평온한 산책길이 길게 이어지다 보니

                     어느 순간 나도 모르게 입에서 흥얼흥얼 노랫가락이 절로 흘러나옵니다.

 

                   ▼14:17

                     카메라가 밥 달라고 하여

                     진행을 멈추고 배터리를 교체하며 잠시 휴식시간을 가집니다.

 

                   ▼14:25

                     다시 출발..

 

                   ▼약간의 오르막길이 나오고..

 

                   ▼14:27

                     어느 봉우리에 올라서는 느낌이 드는데..

 

                   ▼봉우리에 올라서니 조팝나무에 둘러싸인 넓직한 헬기장입니다.

                     지도상의 777봉쯤 되는지..?? 

 

 

 

                   ▼777봉이면 어떻고 아니면 어떻고..

                     별 중요한 게 아니므로 그저 짐작만 하고 지나갑니다.

 

                   ▼헬기장을 지나 잠시 진행하자

                     이번엔 괴불주머니가 떼로 나타나 또 다시 산객의 발걸음을 멈추게 만듭니다.

 

 

 

                   ▼14:35

                     얼마 후 다시 헬기장이 나오고..

 

                   ▼헬기장을 지나 약간의 오름길이 이어진다 싶더니..

 

                   ▼14:37

                     황학산과 마찬가지로

                     느닷없이 정상석이 나타나 산객의 예상을 완전 빗나가게 만듭니다.

 

                   ▼벌써 조봉이라니..!!

                     이번 구간의 종점인 이화령까진 이제 얼마 남지도 않았습니다.

 

                   ▼조봉 정상에서 내려서자 별로 달갑지 않은 군교통호가 나와

                     이제 더 이상 환상적인 숲길은 기대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고도를 제법 낮추려는 듯

                     비록 완만하지만 내림길이 제법 길게 이어집니다.

 

                   ▼약간의 오르막이 나오지만..

 

                   ▼언덕 같은 능선봉을 지나..

 

                   ▼이내 고도를 조금씩 낮추는 내림길로 이어집니다.

 

 

 

                   ▼고도를 확 낮출 것만 같았던 내림길은 예상과는 달리 그렇게 오래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어느 틈엔가 등로는 임도처럼 넓직하고 반반하게 변해 있습니다.

 

                   ▼항상 마지막에 뒷통수를 치는 백두대간..

                     하지만 이번만은 예외인 듯.. 

 

                   ▼좌측으로 백화산으로 이어지는 대간의 산줄기가 눈에 들어옵니다.

                     분지리를 사이에 두고 반시계방향으로 거의 한 바퀴를 돌았으니 아침에 지나갔던 능선이 바로 좌측에 있습니다.

 

 

                   ▼룰루랄라 편안한 마루금은 계속 이어집니다.

 

                   ▼다시 완만한 오름길이 나오고..

 

 

                   ▼14:56

                     짧은 오르막을 올라 이름 없는 능선봉을 지납니다.

 

                   ▼다시 내림길...

 

 

 

                   ▼별다른 특징 없는 완만한 오르내림의 등로에 이제 슬슬 지루함이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금방이라도 이화령에 도착할 듯한데..

 

                   ▼제법 가파른 오름길이 나타나고..

 

 

                   ▼15:08

                     오르막을 올라 봉우리에 올라서니

                     헬기장인 듯한 넓직한 공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헬기장을 지나자

                     전방에 올라야 할 봉우리가 우뚝하게 서 있는데,

                     이화령으로 내려서기 직전의 마지막 봉우리인 지도상의 681봉인 듯합니다.

 

                   ▼이화령에 가까워졌음을 알리려는 듯

                     연풍개인택시의 전화번호가 적힌 팻말도 나오고..

 

                   ▼15:09

                     연풍개인택시의 전화번호가 적힌 팻말을 지나자

                     대간리본들은 일제히 봉우리로 직접 오르지 말고 우측 옆구리길을 따라 진행하도록 산객을 인도합니다.

 

                   ▼무슨 연유인지는 모르지만 따를 수밖에..

 

 

                   ▼우측 옆구리길은 제법 길게 이어집니다.

 

                   ▼옆구리길을 따라 진행하면서 도로를 지나는 차량들의 소리가 제법 가깝게 들립니다.

                     하지만 이화령의 도로로 떨어지는 길은 나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제대로 진행하는 게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계속 옆구리길을 따라 등로가 이어집니다. 

 

 

                   ▼15:18

                     우측 옆구리길을 따라 진행한 지 약 10분 쯤..

                     좌측의 능선상에서 사람 소리가 들려 옆구리길을 버리고 좌측 능선으로 올라갈려고 시도를 했더니

                     능선 위로 올라가지 못 하도록 원형철조망이 쳐져 있습니다.

 

                   ▼하지만 밟고 올라선 흔적도 있고 해서

                     대충 원형철조망의 날카로운 칼날을 피해 밟고 올라섰더니..

 

                   ▼군부대기지가 보이면서 넓직한 헬기장이 나타납니다.

                     즉 우측 옆구리길은 군부대기지로 인해 우회하는 등로였던 것입니다.

                     그런데 헬기장에서 서서 좌측으로 고개를 돌렸더니 능선을 따라 헬기장으로 이어지는 선명한 등로가 눈에 들어오는데,

                     괜히 우측 옆구리길을 따라 우회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헬기장에는 2쌍의 부부가 봄나들이를 나와 산나물을 캐며 오봇한 시간을 가지고 있는데,

                     가볍게 인사를 하고 지나가려 했더니 땀에 쩔은 모습이 안스럽게 보였던지 시원한 막걸리라도 한 사발 하고 가랍니다.

                     내려가서 밥 먹어야 된다고 극구 사양을 했지만, 이미 잔에다 막걸리를 따르고 있는 상황..

                     못 이기는 체 하고 넙죽 받아 마셨더니 머리가 띵 할 정도 시원한 게 아주 꿀맛입니다.

 

                   ▼15:36

                     그렇게 잔을 받아들고 퍼질러 앉아 있다 보니

                     한 잔이 두 잔 되고, 두 잔이 석 잔 되고..

                     안 되겠다 싶어 자리를 털고 일어서면서 원형철조망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어떻게 이곳으로 올라왔는지 물어봤더니,

                     바로 앞에 보이는 군부대철책 우측으로 원형철조망이 트여 있는데 군부대철책을 따라 가다 보면 곧 이화령으로 내려선다고 합니다.

 

 

                   ▼고맙게 잘 마셨다는 인사말을 남기고 군부대철책 우측 아래로 난 등로를 따라 잠시 진행하자..

 

                   ▼15:39

                     군부대경고판과 함께 급우측으로 내려가는 계단길이 나타납니다.

 

 

                   ▼계단길을 따라 쭈욱 내려오니

                     드디어 이화령의 모습이 내려다보이고..

 

                   ▼밟아서 짓뭉개진 원형철조망이 다시 나타납니다.

 

                   ▼조심스럽게 원형철조망을 밟고 계속 계단길을 따라 진행하여..

 

                   ▼15:42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을 연결하는 이화령의 아스팔트 포장도로로 내려섭니다. 

 

                   ▼아스팔트도로로 내려서서 좌측으로 잠시 진행하니..

 

                   ▼이화령표지석과 육각정자가 나오는데..

 

                   ▼내일 올라야 할 조령산의 들머리는 바로 육각정자 옆인 듯합니다.

 

                   ▼그런데 육각정자를 지나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조금 더 진행하니

                     또 하나의 이화령표지석이 나타나면서 이화령휴게소가 눈에 들어옵니다.

                     뭔넘의 표지석이 두 개씩이나 세워져 있는지..?

 

 

웬넘의 이화령표지석이 둘씩이나 되는지 알아본즉슨

1925년 일제가 이화령 고갯길에 도로를 내고 경상도와 충청도를 갈라 놓았기 때문이란다.

일본은 한반도 신작로화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그 이면에는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1400km 백두대간을 잘라 놓겠다는 의도가 있었던 것이다.

민족정기의 흐름이 끊긴 것은 물론이고, 생태계까지 파괴된 것이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와 난개발로 단절된 백두대간 구간만 63개소나 된다고 한다.

 

최근에 뉴스를 보니

일제강점기에 도로 개설로 끊어진 이화령에 백두대간 마루금 생태 축 연결 복원사업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이화령뿐만 아니라 비재, 벌재 등에도 시행될 계획이란다.

백두대간을 이어가는 한 산객으로서 대단히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반가운 소식에도 불구하고 한쪽 구석에 자리잡은 불편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

그것은 백두대간 출입통제구간에 관한 것이다.

마루금 연결사업을 벌이면서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의 발전이라는 기대도 있을 상 싶다.

한쪽에선 백두대간의 활성화를 도모하면서 많이들 와 주십사하고,

한쪽에선 굳건히 자물쇠를 잠궈 오지말라고 하고..

왠지 따로 노는 모순의 행정인 듯하여 씁쓸한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어쨌든 후답자님들은 좋겠다.

 

 

 

 

 

                   ▼택시를 불러 문경읍으로 이동하여 오늘 하룻밤을 머물 수림파크에 도착..

 

                   ▼이렇게 또 백두대간 한 구간을 마칩니다.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