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저산

춘천의 삼악산

산장 2010. 12. 15. 17:00

 ▶2010.12.05(일)

   산행코스: 강촌교-412봉-삼악좌봉(570)-등선봉-619봉-흥국사-작은초원-큰초원-용화봉-

                 청운봉/흥국사갈림길-흥국사-매표소

   도상거리: 약 11km

   실산행시간: 4시간50분

   휴식/중식시간: 2시간

   총산행시간: 6시간50분

   날      씨: 흐림

   With 죽정산악회 

 

   삼악산은 소양강, 의암호를 지나 북한강으로 흘러드는 푸른 강변을 끼고

    남쪽의 검봉산, 봉화산과 마주하여 솟은 산이다.

    주봉이 용화봉(645m), 청운봉(546m), 등선봉(632m) 셋이라해서 삼악산이라 하는데,

    악산 답게 제법 험하고 거칠다.

    산 곳곳에 갖가지 모양을 한, 크고 작은 기이한 바위가 많다.

    봉우리 사이의 주능선은 바위로 되어있고 계곡이 뚜렸하다.

    산세는 작지만 단조롭지 않아  아기자기한 산행을 즐길 수 있다.

    삼악산 남쪽의 골짜기 초입은 마치 동굴 속을 들어가는 것 같은 깊은 협곡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유명한 등선폭포(일명 경주폭포)를 위시하여 크고 작은 폭포가 5개나 있고,

    그외 오래된 사찰들이 절벽 위에 위치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산중에는 등선폭포와 상원사, 흥국사가 있으며 등산로를 따라가면서 발아래 펼쳐지는 춘천시 전경과

    봉의산, 중도와 붕어섬, 의암댐 등이 같이 어우러진 경치가 일품이다.

 

    이런 삼악산을 미루고 미루다가..

    앞으로 경춘선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김현철의 '춘천 가는 기차'는 더 이상 탈 수 없으므로

    마지막으로 경춘선 기차를 탄다는 의미와 함께 삼악산을 오를려고 청량리로 향합니다.

  

                   ▼09:23

                     청량리역에서 07시55분에 출발하는 기차를 타고 강촌역에 도착합니다.

 

                   ▼강촌역에 내리자마자 자동적으로 눈에 들어오는 건 수많은 낙서들..

                     왔다갔음을 남기기 위한 흔적 내지는 청춘남녀들의 사랑의 맹세...

                     그러한 낙서들 속에 감춰진 수많은 사람들의 추억이 서려있는 강촌역..

                     그런 추억의 강촌역도 이제 새로운 전철역으로 이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무슨 연유에서인지 아직도 입장료를 받고 있는 삼악산..

                     삼악산을 오르기 위해선 입장료를 내야 하는 등선폭포매표소나 의암댐매표소를 들머리로 잡을 수도 있지만,

                     입장료도 아끼고 또 제대로 삼악산의 묘미를 즐기기 위해선 멀리 갈 필요없이 강촌역에서 직접 오르는 게 최고입니다.

 

                   ▼검봉산이나 삼악산을 오르기 위해 강촌역에서 내린 수많은 등산객들..

                     그 중 삼악산을 찾은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등선폭포매표소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우측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 등산객들은 등선봉으로 오르기 위해 좌측의 강촌교 쪽으로 진입합니다. 

 

                   ▼산우님들이 용무를 보는 사이에 강촌교 위에서 주변 경관을 잠시 감상합니다.

 

 

 

                   ▼09:35

                     흩어졌던 산우님들과 합류..

                     412봉을 마주하며 강촌교를 따라 진행합니다.

 

                   ▼들머리는 강촌교를 지나 육교 아래에 있습니다. 

 

                   ▼09:42

                     아이러니하게도 육교 아래의 입산통제안내판이 있는 바로 이곳이 등선봉의 들머리입니다.

                     미리 조사해 오지 않는다면 도저히 알수 없는 산의 초입입니다.

                     물론 여기에서 오르면 일반인들이 산행을 하기에 조금 험한 코스인 측면도 있지만,

                     아마도 입장료을 받을 수 있는 등선폭포 쪽으로 유인하기 위한 잔머리가 아닌가 여겨집니다.

 

                   ▼입산통제안내판 옆으로 오르면 시멘트배수로가 나오고... 

 

                   ▼산행준비를 할 수 있는 제법 너른 장소가 나옵니다.

                     두터운 쟈켓을 벗고 장갑도 끼고 등산화끈도 조이고...산행준비를 합니다.

 

                   ▼09:48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합니다.

                     초반부터 가파른 오름길이 이어집니다.

 

                   ▼특별한 이정표는 없고 이런 단순한 팻말만 있습니다.

 

                   ▼코가 땅에 닿을 듯한 된비알이 계속 이어집니다.

 

                   ▼돌탑군을 지나고..

 

 

                   ▼별 의미없는 등산로팻말만 무성의하게 설치되어 있습니다.

 

                   ▼계속 가파른 오름길이 이어집니다. 

 

 

                   ▼10:18

                     첫번째 봉우리인 412봉에 도착합니다.

 

                   ▼기념촬영을 하고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따뜻한 장소를 찾아 발걸음을 옮깁니다.

 

                   ▼412봉에서 잠시 내려서 암봉이 버티고 있는데,

                     이 암봉을 직접 올라가면..

 

                   ▼이렇게 내려와야 합니다. 

 

                   ▼안전을 위해 좌측으로 진행하여 암봉을 우회합니다.

 

 

                   ▼10:25

                     암봉 옆에서 요기를 하며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10:47

                     휴식을 마치고 등선봉을 향해 출발합니다. 

 

                   ▼별로 도움이 안되는 등산로팻말은 심심찮게 나타납니다.

 

 

                   ▼10:53

                     바위가 있어 올라섰더니.. 

 

                   ▼흐린 날씨로 인해 조금 답답하긴 하지만,

                     나름의 멋진 조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대충 조망을 마치고 계속 진행합니다.

                     이제부터 삼악산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암릉길의 시작인 듯..

                     날카로운 바윗길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험한 암릉길 우측으로 편한 우회길이 있지만,

                     조심스럽게 암릉길에 다가섰더니 멋진 그림들이 줄을 이어 대기하고 있습니다.

                     아쉬운 건 흐린 날씨...

 

                   ▼북배산 방향으로의 조망입니다.

                     날씨만 맑다면 경기 최고봉인 화악산도 시원하게 보일텐데..

 

                   ▼새로 이전할 신축 중인 강촌역이 내려다보입니다.

 

                   ▼봉화산과 검봉산..

                     우측으로 강촌스키장이 내려다보입니다.

 

                   ▼검봉산과 삼악산 사이에서 유유히 흐르고 있는 북한강..

 

 

 

                   ▼연이어 거친 암릉길이 이어지지만,

                     주의만 하면 그렇게 위험하진 않습니다.

 

 

                   ▼삼악좌봉인 듯..

 

                   ▼다시 북배산 방향으로 조망..

 

 

 

 

 

                   ▼거친 암릉길이 계속 이어집니다.

 

                   ▼지나온 봉우리를 되돌아보고...

 

                   ▼올라야 할 삼악좌봉..

 

                   ▼11:26

                     삼악좌봉(570봉)에 도착합니다. 

 

                   ▼삼악좌봉 정상에는 정상석은 없고,

                     고사목이 정상석을 대신하는 듯 합니다.           

 

                   ▼다시 지나온 봉우리를 되돌아보고..

 

                   ▼등선봉을 향해 내려갑니다.

 

                   ▼내림길에 올라야 할 등선봉이 눈앞에 다가옵니다.

 

                   ▼가파른 내림길이 잠시 이어집니다.

 

                   ▼이제 더 이상 거친 암릉길이 나오질 않고 비교적 수월한 능선길이 이어집니다.

 

 

                   ▼야생동물의 은식처인 듯한 동굴도 있습니다.

 

                   ▼편안한 낙엽능선길..

 

 

                   ▼하지만 다시 암릉길이 시작됩니다.

 

 

                   ▼등선봉으로의 마지막 고비인 듯한 가파른 암벽길이 버티고 있습니다.

 

 

                   ▼암벽을 오르기 직전의 조망이 아주 좋습니다.

                     또 한번 날씨를 원망합니다.

 

 

 

 

 

 

                   ▼암벽을 올라오자..

 

                   ▼다시 편안한 낙엽능선길이 이어집니다.

 

 

 

                   ▼봉우리 하나를 오르고..

 

                   ▼봉우리에 내려서면서..

 

                   ▼올라야 할 등선봉 정상이 바로 눈앞에 나타납니다.

 

                   ▼옛 성벽의 흔적이 나타나고...

 

                   ▼11:53

                     드디어 등선봉 정상에 도착합니다.

 

 

                   ▼11:56

                     등선봉 정상에서 간단하게 기념촬영을 하고 청운봉으로 향합니다.

 

 

                   ▼이제 거친 암릉길은 완전히 끝이 나고 제법 두툼한 낙엽능선길이 이어집니다.

 

                   ▼약 10시 방향으로 잠시 후 올라서야 할 봉우리들이 수림 사이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청운봉과 삼악산 정상인 용화봉인 듯..

 

 

                   ▼12:06

                     엣 산성의 흔적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오늘 산행의 최대실수를 하고 맙니다.

                     좌측으로 산성길을 따라 진행해야 하는데..

                     산성 우측으로 좋은 길이 있어 산우님들은 산성을 외면하고 우측으로 그대로 직행합니다. 

 

                   ▼산성 우측으로 진행되는 길이 가다 보면 결국 좌측 산성길과 합류하게 될 것 같아

                     우측으로 진행하는 산우님들을 냅두고 혼자 좌측 산성 쪽으로 진행합니다.

 

 

 

                   ▼12:12

                     등선봉 정상에서 내려서서 산성의 흔적을 만나 산성길을 따른 지 약 5~6분쯤,

                     어느 봉우리에 도착합니다.

                     지도를 보니, 619봉..

                     청운봉으로 가려면 여기서 좌측으로 진행해야 되는데,

                     산우님들은 산성 우측으로 계속 진행한 모양입니다.

                     일단 산우님들을 만나러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산성길이 잠시 이어지다가..

 

                   ▼2~3분 후 좌측길은 없고 우측의 가파른 내림길만이 있습니다.

 

                   ▼좌측으로 청운봉과 용화봉인 듯한 봉우리들이 보이고...

 

                   ▼좌측 아래로는 흥국사가 내려다보입니다.

 

                   ▼하지만..

                     청운봉과 흥국사와는 전혀 상관없이 내림길의 방향이 전개됩니다.

                     산우님들을 멈춰 세우기 위해 전화를 걸었지만,

                     워낙 가파른 내림길로 한참을 내려간 터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일단 끊어라고 합니다.

                     산우님들이 올라오기를 기다리며 대기..

                     얼마 후 전화가 걸려오는데, 이미 다 내려간 상태고 이정표와 함께 계곡을 만났다고 합니다.

                     이런 된장..!

 

                   ▼오늘 산행도 완전 조졌구나 생각하고 어쩔 수 없이 내려갑니다.

 

                   ▼점점 멀어지는 용화봉 방향..

 

                   ▼정상 등로가 아닌 듯..

                     낙엽으로 미끄럽고 가파른 내림길이 이어집니다.

                     산아래에선 지나가는 차량들의 소리도 아주 가깝게 들리고..

                     거의 하산을 하는 듯 합니다.

 

                   ▼13:02

                     미끄럽고 가파른 내림길을 따라 한참을 내려오자 계곡과 함께 다리가 나옵니다. 

 

                   ▼이정표는 우측으로는 등선폭포0.8km,  좌측으로는 정상2.2km를 가리킵니다.

 

                   ▼비록 알바를 해서 거의 하산이나 다름없이 다 내려왔지만,

                     그래도 삼악산에 왔는데 정상인 용화봉을 찍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맥이 빠지지만..정상으로 향합니다.

 

 

                   ▼시간이 시간인지라 벌써 용화봉을 찍고 하산을 하는 산행팀도 있습니다.

                     물론 등선폭포매표소에서부터 시작했겠지만..

 

 

                   ▼날씨가 흐려 사진도 엉망으로 나오고..

 

                   ▼13:22

                     흥국사 직전..

                     삼악산도 식후경..점심상을 폅니다. 

 

 

                   ▼14:41

                     긴 점심을 마치고 다시 정상을 향해 출발..

 

 

                   ▼흥국사매점을 지나고..

 

                   ▼정상까진 1.3km..

 

                   ▼입장료를 내고 안 내고의 차이인지..

                     등선폭포 쪽에서 용화봉으로 오르는 등로는 등선봉 쪽에서의 등로와는 사뭇 차이가 있는 정비된 등로가 이어집니다.

 

 

                   ▼14:57

                     넓직한 공터 같은 장소가 나오더니,

                     '작은 초원'이란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정상까지는 1.0km..

 

 

                   ▼333계단이 시작됩니다.

 

 

                   ▼등선봉 방향..

 

                   ▼333계단을 지나 계속 잘 정비된 등로가 이어집니다.

 

 

                   ▼다시 넓은 공터가 나오는데...

 

                   ▼이번엔 '큰초원'입니다.

 

                   ▼정상으로 향하는 은근한 오름길이 이어집니다. 

 

 

                   ▼드디어 용화봉 정상에 다가섭니다.

 

                   ▼정상 직전에 이정표가 나오고..

 

                   ▼15:26

                     용화봉 정상에 도착합니다.

              미륵불인 미륵부처님이 오는 세계를 용화(龍華)세계라 하는데,

              용화봉의 이름은 거기에서 유래하는 듯 합니다. 

 

                   ▼15:37

                     이제 진짜 하산입니다.

                     왔던 길로 다시 내려가기는 그렇고 해서..

                     청운봉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안부에서 좌측으로 꺾어 하산하기로 결정합니다. 

 

                   ▼용화봉 정상에서 내려서자 해체되어 뿔뿔이 흩어진 이정표가 나옵니다.

                     입장료를 받고 그 돈 다 어디 쓰는지..

                     대부분의 산이 입장료를 받지 않고도 이정표 정비가 잘 되어 있는데..

                     그러고 보니 입장료를 받는 산치고  이정표 정비가 잘 된 산은 별로 없는 듯 합니다.

                     동두천의 소요산이 그렇고, 충남의 서대산도 그렇더니.. 

 

 

 

                   ▼미끄러운 낙엽과 함께 가파른 내림길이 이어집니다.

 

 

                   ▼등선봉..

 

                   ▼청운봉인 듯..

 

                   ▼15:54

                     산성의 흔적이 나오면서 안부삼거리로 내려섭니다.

                     계속 직진하면 청운봉..

                     청운봉에 오르지 못해 아쉽지만, 여기에서 좌측 내리막길을 따라 하산합니다.

 

                   ▼안부삼거리에서 좌측 내림길에 삼악산성지에 대한 안내판이 세워져 있습니다.

 

 

                   ▼편안한 내림길이 잠시 이어지더니..

 

                   ▼민가가 나오고..

 

                   ▼16:01

                     곧이어 흥국사가 나옵니다.

 

 

                   ▼흥국사를 대충 훑어보고 서둘러 발걸음을 옮깁니다.

 

                   ▼아까 점심식사 후 용화봉 정상으로 향하면서 지났었던 흥국사매점을 다시 지납니다.              

 

                   ▼점심을 먹었던 장소를 지나 계곡이 나오고..

 

                   ▼등선봉을 지나 알바로 내려오면서 만났던 이정표를 지납니다.

 

                   ▼삼악산의 비경 중 하나인 등선폭포가 나오려는 듯..

 

                   ▼선녀탕이 먼저 나옵니다.

 

 

                   ▼선녀탕을 지나..

 

                   ▼식당이 나오고..

 

 

                   ▼등선폭포인 듯..

 

 

                   ▼날씨가 흐려 어두침침해 초점이 잘 맞지 않습니다.

 

 

                   ▼16:43

                     등선폭포를 지나자 바로 매표소가 나옵니다.

 

 

                   ▼매표소를 지나면서 오늘의 산행이 끝나게 됩니다.

                     계획에 약간의 차질은 있었지만..

                     산이 어디 다른 데로 이사가는 것도 아니고, 맑고 화창한 다음 날을 기대하며 아쉬움을 달랩니다.  

 

                   ▼조촐한 뒤풀이를 가진 후 다시 강촌역..

 

                   ▼강촌의 야경을 감상하며 청량리로 가는 기차를 기다립니다.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