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完走)

백두대간 나홀로종주 제27구간: 피재-댓재 Part 2

산장 2012. 9. 11. 20:56

▶2012.09.02(日)

   산행코스: 피재(삼수령)-노루메기-945봉-공터(가짜건의령)-건의령-푯대봉삼거리-한내령-구부시령-

                  새목이-덕항산-지각산(환선봉)-자암재-광동댐이주단지-큰재-황장산-댓재

   산행거리: 26.1km 

   산행시간: 11시간16분...휴식(98분)/중식(35분) 포함

   날      씨: 아침엔 맑음,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츰 흐려지며 짙은 안개

 

 

   05:35  피재(삼수령)

   05:43  노루메기

   06:10  945봉(삼각점)

   07:25  공터(가짜건의령)

   07:37  건의령(한의령)/휴식(23분)

   08:10  푯대봉삼거리

   08:12  푯대봉

   08:15  푯대봉삼거리

   09:05  961봉

   09:15  한내령

   09:36  1161봉/휴식(09분)

   10:13  1017봉

   10:45  1055봉

   10:59  구부시령

 

    

                   ▼김밥으로 허기진 배를 채우고 주섬주섬 배낭정리를 하며 다시 길 떠날 채비를 하고 있으니

                     어느 산악회의 대간산행팀이 하나 둘 줄을 이어 내려오면서 조용하던 구부시령이 갑자기 시끌벅적해집니다. 

 

                   ▼서방만 얻으면 죽고 또 죽고하여 무려 아홉 서방을 모셨다는 구부시령의 유래가 적힌 설명판을 보며

                     구부시령에 모인 산악회 산님들이 저마다 기다렸다는 듯이 한 마디씩 던집니다.

                     여인네가 얼마나 예뻤으면 남자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덤볐을까라는 둥, 복 받은 여자라는 둥, 심지어 여자 카사노바라는 둥..

                     아홉 서방을 모신 그 여인을 두고 기구한 팔자라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지금 같으면 아마도 남편의 재산을 노린 엽기적인 연쇄살인범으로 의심 받아 뒷조사에 들어갔을 텐데..!!!

 

                   ▼11:34

                     점심식사를 마치고 보따리를 챙겨 다시 대간길을 이어갑니다.

                     항상 전반전, 즉 산행의 절반이 끝나고 나면 마음이 한결 편안해집니다.

                     마치 산행이 거의 끝나가는 것처럼..

                     이제 올라야 할 산은 이번 구간에서 처음으로 이름이 있는 덕항산입니다.

 

                   ▼11:38

                     구부시령에서 약간의 오르막을 올라 가볍게 봉우리를 하나 넘어섭니다.

                     지도상의 1007봉을 지나는 모양인데 덕항산이란 이름 있는 산이 기다리고 있어 그 누구도 그다지 신경을 써지 않을 듯합니다. 

 

                   ▼1007봉을 지나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더니..

 

                   ▼11:41

                     "ㅓ"자형 삼거리가 나오면서 마루금은 직진하는 길을 버리고 급좌측으로 꺾이는 내림길로 이어집니다. 

 

 

                   ▼11:43

                     대간리본들의 안내에 따라 급좌측으로 꺾어 내려오니

                     이정표(구부시령0.5km/덕항산0.6km)가 세워져 있는 넓직한 공터에 이르는데, 지도상의 새목이를 지나는 듯합니다.

 

 

                   ▼새목이를 지나 대체적으로 완만한 등로가 이어지다가..

 

                   ▼서서히 오름이 급해지고..

 

                   ▼여러 산님들이 모여 있는 걸 보니 어느새 덕항산 정상에 다가서는 듯..

 

                   ▼11:56

                     덕항산 정상에 도착합니다.

 

                   ▼동양 최대의 동굴인 환선굴의 유명세로 100대 명산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 덕항산.. 

                     하지만 대간길에서의 덕항산은 별 볼거리도 없어 지금껏 지나온 여느 봉우리와 별반 다를 게 없는 평범한 봉우리에 불과합니다.

                     산 아래의 골짜기에서 올라 환선굴을 비롯한 여러 천연동굴을 두루 살피며 진행해야 100대 명산으로서 덕항산의 면모를 제대로 느낄 수 있을 텐데..!!  

 

 

덕항산(1071m)

약 4∼5억년 전에 이루어진 길이 6.9km, 천장높이 30m에 이르는

동양최대의 동굴인 환선굴(幻仙窟 : 천연기념물 제178호)이 유명하고,

전형적인 경동지괴(傾動地塊) 지형으로 기암절벽과 초원이 어우러져 있으며

갈매굴, 제암풍혈, 양터목세굴, 덕발세굴, 큰재세굴 등 석회동굴이 많이 소재하고,

대이동굴 군립공원(1996년 지정) 구역내인 점 등을 고려하여 100대 명산으로 선정되었다.

 

 

 

                   ▼11:57

                     덕항산 정상에 서면 시원한 조망이 기다리고 있을 줄 알고 내심 기대를 했었는데,

                     갑자기 날씨가 흐릿해지면서 잔뜩 안개가 끼여 아무것도 보이는 게 없어 오래 머물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간단히 정상석만을 카메라에 담고 덕항산의 진면목은 기약 없는 다음으로 미룬 채 덕항산 정상에서 바로 내려갑니다.

 

                   ▼옹기종기 모여 앉아 점심식사를 하는 산님들도 간혹 눈에 띄고..

 

                   ▼등로 우측 아래로는 낭떠러지니 조심하라는 팻말이 나오고..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12:04

                     넓은 공터의 안부사거리로 내려서는데, 현위치가 '쉼터'라는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좌측으로 예수원, 우측으로는 골말로의 하산길이 있고,

                     올라야 할 이번 구간의 최고봉인 환선봉(지각산)까지는 1.4km라고 합니다. 

 

                   ▼환선봉을 향해 계속 진행합니다.

                     그런데 쉼터사거리를 지나면서 짙은 안개가 온 산을 뒤덮고 있습니다.

 

                   ▼12:06

                     쉼터사거리를 지나 약간의 오름길이 이어지더니

                     봉 같지도 않은 봉을 지나면서 이내 내림길로 이어집니다.

 

                   ▼내림길이 계속 이어지면서 우측으로의 추락방지를 위한 로프가 나오고..

 

                   ▼전형적인 동고서저(東高西低)의 지형이라 좌측으로는 완만한 비탈면이지만,

                     우측 아래로는 까마득한 낭떠러지이므로 주의를 요하는 팻말이 수시로 나옵니다.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등산로팻말이 나오면서 오름길로 이어지고..

 

 

                   ▼오름길을 따라 어느 봉우리에 닿을 무렵

                     좌측 봉우리 쪽으로는 얼씬도 말라는 출입금지팻말이 나와 좌측으로 가 볼까 말까 잠시 망설이다가

                     별 볼 일 없을 거 같아 그냥 착하게 우측의 로프난간이 있는 쪽으로 진행합니다.

 

 

                   ▼우측 아래로 추락방지를 위한 로프난간이 시종일관 이어집니다.

 

 

                   ▼안개는 한 치 앞만 겨우 보일 정도로 점점 더 짙게 드리워지고..

 

                   ▼짙은 안개로 앞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지만,

                     등산로를 유도하는 로프와 수시로 나타나는 등산로팻말 덕분에 진행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습니다.         

 

                   ▼12:24

                     크게 가파른 구간 없이 완만하게 오르락내리락거리는 등로를 따라 진행하다 보니

                     어느새 덕항산에서 1.2km나 왔으며 환선봉까지는 불과 0.5km 남았다는 이정표가 나옵니다.

 

                   ▼이정표를 지나 곧장 환선봉 정상으로 향하는 오름길이 길게 이어질 듯하더니..

 

                   ▼다시 완만해지며 내림길이 나오고..

 

                   ▼약간의 암릉구간도 나오고..

 

 

                   ▼진행에 별 어려움이 없는 완만한 오르내림의 등로가 이어지다가..

 

                   ▼제법 깔딱의 오름길이 시작되더니..

 

                   ▼12:37

                     환선봉의 정상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정상석이 눈에 들어옵니다.

                     환선봉 정상석을 얼른 카메라에 담고 정상석 옆에 자리를 잡고 앉아 간식을 먹으며 휴식을 취합니다.

 

 

 

                   ▼12:57

                     휴식을 마치고 환선봉 정상에서 내려갑니다. 

 

 

                   ▼안개는 심각할 정도로 더욱 짙어만 갑니다.

 

                   ▼대대적인 등로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헬기로 운반된 듯한 큰 포대자루가 등로 옆 군데군데 놓여져 있습니다.

 

 

                   ▼가파른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다가 하늘을 향해 쭉쭉 뻗은 나무들이 나타나면서 완만해지더니..

 

                   ▼13:09

                     현위치가 헬기장이라는 이정표가 나옵니다.

                     환선봉 0.7km, 자암재 0.9km..

 

 

                   ▼헬기장을 지나 오름길이 나오고,,

 

 

 

                   ▼13:20

                     제법 길게 이어지는 오르막을 올라 봉우리에 올라서지만 봉의 느낌도 없이 막바로 내림길로 이어집니다.

 

                   ▼어쨌든 다시 내려가고..

 

                   ▼13:25

                     내림길을 따라 내려오니 이정표가 세워진 넓직한 장소에 이르는데, 현위치가 '자암재'라고 합니다.

                     우측으로 그 유명한 환선굴로 내려가는 길이 있으며, 가야 할 큰재까지는 3.4km.. 

 

                   ▼자암재를 지나 다시 오름길이 이어집니다.

 

                   ▼비록 그리 가파르지 않은 완만한 오름길이지만,

                     이제 지칠 때도 된 산행의 중후반부로 접어든 터라 오름길은 완만해도 무조건 가파르게만 느껴집니다.

 

 

                   ▼13:40

                     자암재를 지나 오름길이 길게 이어지면서 봉우리 하나를 넘어서나 싶더니.. 

 

                   ▼오름세가 잠시 주춤거렸을 뿐 오름길이 조금 더 이어지다가..

 

                   ▼13:42

                     봉우리에 올라서니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자암재 0.7km, 큰재 2.7km..  

 

                   ▼다시 내려갑니다.

 

 

                   ▼13:52

                     이정표가 세워진 봉우리에서 완만한 내림길을 따라 쭈욱 내려오니

                     광동댐이주단지 근처에 당도했는지 지나가는 차량들의 소리가 가깝게 들려오고,

                     등로 좌측으로 고랭지배추밭이 살짝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고랭지배추밭에다가 눈길을 슬쩍 주고 계속 진행합니다.

 

                   ▼13:54

                     큰재까지 2.4km 남았다는 이정표가 나오고.. 

 

 

 

                   ▼이정표를 지나 완만하게 오르락내리락하더니..

 

                   ▼14:05

                     이정표와 함께 시멘트임도가 나옵니다.

 

                   ▼시멘트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하면 예능프로그램 1박2일로 유명세를 탄 귀네미마을로 이어지는듯..

                     가야 할 큰재까지는 1.8km입니다. 

 

                   ▼진행방향에서 우측으로 시멘트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14:07***알바주의***

                      시멘트임도를 따라 약 50m쯤 진행하다가 시멘트임도가 좌측으로 꺾일 무렵

                      시멘트임도를 버리고 다시 산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칠흙에 비유해도 무방하리 만치 짙은 안개로 앞이 잘 보이질 않아 무심코 진행하다가 이 지점을 지나칠 뻔 했습니다.

                      물론 시멘트임도를 따라 진행해도 별 상관은 없지만 빙 돌아간다고 하니 지친 마당에 헛걸음할 이유는 없습니다.   

 

                   ▼심각한 안개로 시멘트임도 바로 옆에 높이 쌓아 놓은 퇴비포대조차 보이지 않을 정도니..

 

                   ▼시멘트임도를 버리고 퇴비포대가 놓여진 산길로 접어들자

                      물기를 잔뜩 머금고 있는 무성한 풀숲길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14:10

                     바지가랭이를 순식간에 흥건히 적시는 풀숲길을 헤치고 나오니 다시 시멘트임도와 만나고..  

 

                   ▼시멘트임도를 따라 잠시 진행하니..

 

                   ▼14:11

                     시멘트임도가 좌측으로 꺾이면서 이정표가 나옵니다.

                     이정표가 가리키는 대로 '댓재-황장산-큰재' 방향으로 시멘트임도를 따라 계속 진행합니다.

 

 

                   ▼14:13

                     시멘트임도를 따라 잠시 진행하니

                     이정목(환선봉3.7km)이 나오면서 시멘트임도를 버리고 다시 산길로 접어들도록 넌지시 지시합니다.

                     구부시령에서 만난 산악회의 어느 산님이 방울토마토를 좀 먹어보라고 건네길래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휴식을 취합니다.

 

                   ▼14:25

                     휴식을 마치고 다시 출발합니다. 

 

                   ▼14:27

                     시멘트임도를 버리고 산길을 따라 잠시 진행하니

                     이미 지나온 덕항산만을 가리키는 아무런 도움이 안 되는 이정목이 나오고..

 

                   ▼도움 안 되는 이정목을 지나면서 길이 조금씩 넓어지는데..

 

                   ▼이내 이번엔 도움이 되는 이정목이 나옵니다.

                     큰재 1.1km..

 

                   ▼산길은 임도처럼 넓어지고..

 

                   ▼조금 더 진행하니 '임도처럼'이 아닌 아예 넓직하고 편안한 임도가 길게 이어집니다. 

 

                   ▼편안한 임도길에 화사한 야생화들이 방실대며 산객의 시선을 빼앗습니다.

 

 

 

 

                   ▼임도를 따라 진행하는 동안

                     임도 좌측 바로 옆에서 풍력발전시설의 바람개비 돌아가는 소리가 웅웅거리며 들려오지만,

                     지독한 안개가 거대한 바람개비조차 집어삼킨 듯 거의 식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흐릿하게만 보입니다.

 

                   ▼물길이 된 임도도 지나고..

 

                   ▼14:38

                     편안하고 넓직한 임도길이 제법 길게 이어지다가

                     등로 좌측에 백두대간 등산안내도가 나타나면서 임도를 버리고 다시 산길로 접어들도록 은근히 유도하는데..

 

                   ▼바리케이트가 나올 때까지 임도를 따라 진행해야 한다는 선답자의 산행정보에 근거하여 

                     백두대간 등산안내도의 알쏭달쏭한 안내를 무시하고 계속 편안한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14:39

                     백두대간 등산안내도를 무시하고 임도를 따라 잠시 진행하니 이내 바리케이트가 나오고..

 

                   ▼바리케이트를 통과하여 계속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바리케이트를 통과하여 임도를 따라 진행하는 동안

                     함백산에 이어 또다른 천상의 화원을 만난 듯 임도 좌측이 온통 울긋불긋 야생화로 가득합니다.

 

 

                   ▼14:45

                     임도길이 생각보다 길게 이어지다가

                     드디어 큰재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2개의 이정표가 눈에 들어오면서 임도를 버리고 우측 산길로 접어들라고 지시합니다.

                     이정표가 임도를 벗어난 쪽에 있는 모자 쓴 산님 바로 뒤에 있지만 사진상으로는 짙은 안개에 묻혀 식별이 불가합니다.

 

                   ▼마지막으로 올라야 할 황장산까진 4.4km, 이번 구간의 종점인 댓재까진 5.0km..

                     큰재에서 황장산까지도 여러 봉우리를 오르내리는 빨래판능선입니다.

                     비록 짧은 오르내림이지만 산행 막바지라 결코 만만하게 볼 순 없습니다.

                     잠시나마 편안한 임도와 함께했던 행복은 끝, 다시 고생 시작입니다.

 

                   ▼어쨌든 편안했던 임도를 뒤로하고 다시 올라갑니다.

 

 

                   ▼별시리 가파르지 않은 약간의 오르막을 올라 언덕 같은 능선봉을 지날 무렵

                     물기를 잔뜩 머금은 채 등로를 가득 메운 잡풀들이 나타나 순식간에 등산화와 바지를 축축하게 만들며 진행에 방해를 합니다.

 

                   ▼다행히 잡풀구간은 짧게 끝나고 말끔한 등로가 이어지는 듯하더니..

 

                   ▼얼마 안 가서 또다시 등로를 뒤덮은 잡풀들이 나타나 진행을 방해하고..

 

                   ▼다시 말끔한 등로가 나오고..

 

                   ▼또..

 

 

                   ▼15:07

                     그렇게 잡풀구간과 말끔한 등로를 번갈아 거치면서 어느 봉우리에 다가설 무렵 이정표가 눈에 들어오는데..

 

                   ▼이정표 옆에는 현재의 봉우리가 1062봉이라는 어느 고마운 산님의 코팅지가 나무에 매달려 있습니다.

                     큰재 0.9km,  황장산 3.5km.. 

 

                   ▼1062봉에서 바로 내려갑니다.

 

                   ▼깔끔한 등로가 잠시 이어지다가..

 

                   ▼다시 풀숲길이 나오고..

 

                   ▼다시 말끔한 길..

 

                   ▼계속 잡풀길과 말끔한 길이 번갈아 나타나더니..

 

                   ▼15:19

                     이정표가 나옵니다.

                     큰재 1.6km, 준경묘 4.8km(右), 황장산 2.8km...

                     준경묘가 어느 유명한 분의 묘일까를 생각하며 계속 진행합니다.

 

                   ▼어느 순간부터 오름길이 이어지더니..

 

                   ▼15:25

                     봉우리에 올라설 무렵 이정표(큰재1.9km/황장산2.5km)가 나오는데..

 

                   ▼이정표를 지나 몇 걸음 진행하니

                     1069봉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부산낙동산악회에서 제작한 팻말과 함께 삼각점이 발견됩니다.

                     잠시 진행을 멈추고 지도를 보면서 휴식을 취합니다.

 

                   ▼그런데 지도를 보니 부산낙동산악회의 팻말에 표시된 1069m란 봉우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2장의 지도를 가져왔는데 방금 전의 1062봉 이후에는 각각 1159봉과 1059.1봉이라고 서로 다르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웬만큼 차이 나면 그냥 넘어가겠지만, 해발고도가 무려 100m나 차이가 나니 도대체 어느 지도를 믿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지도도 제각각이고, 거기다가 팻말까지 따로 놀고 있으니..

 

                   ▼15:35

                     그러려니 생각하고 휴식을 마치고 무성한 풀숲길을 따라 봉우리에서 내려갑니다.

 

                   ▼무성한 풀숲길은 짧게 끝나고 말끔한 등로가 나타나고..

 

                   ▼모처럼 잡풀의 저항을 벗어난 양반길이 고도를 낮추며 제법 길게 이어집니다.

 

                   ▼다시 오르막이 시작되고..

 

 

                   ▼15:44

                     오르막을 올라 봉우리의 느낌도 없는 능선봉을 지나고..

 

                   ▼능선봉을 지나 완만한 오르내림의 등로가 이어지다가..

 

                   ▼다시 가파른 오름길이 나오고..

 

                   ▼15:51

                     힘겹게 올라오니 이정표가 세워져 있는 넓직한 공터봉입니다.

                     큰재 2.9km, 황장산 1.5km..

 

                   ▼계속 진행합니다.

 

 

                   ▼짧은 내림길에 이어 또다시 오름길이 서서히 시작되고..

 

                   ▼15:57

                     오르막을 올라 봉우리 하나를 넘어서나 싶더니..

 

                   ▼오름세가 잠시 주춤거렸을 뿐 오름길은 계속 이어집니다.

 

                   ▼온 산이 지독한 안개에 묻혀

                     무슨 봉우리를 얼만큼 올라야 할지를 전혀 가늠할 수 없으니 답답하기만 합니다. 

 

                   ▼또다시 가파른 오르막..

 

                   ▼16:02

                     힘겹게 올라오니 이정표가 나타나면서

                     나무에 매달린 1105봉이라고 적힌 부산낙동산악회의 팻말이 눈에 들어옵니다.

                     이제 황장산까지는 불과 0.9km..

 

                   ▼1105봉에서 머뭇거리지 않고 바로 내려갑니다. 

 

                   ▼1105봉에서 내려가니 제법 가파른 내림길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가파른 내림길이 제법 이어지다가 모처럼 편안한 등로가 이어지는 듯 싶더니..

 

                   ▼아..시바..또 오르막..!!

                     앞을 답답하게 가리는 짙은 안개와 수차례 반복되는 오르내림이 그토록 온순한 산객의 심성마저도 뒤흔드는 듯..

 

                   ▼하지만 이제 1105봉을 지났으니

                     마지막 봉우리인 황장산만 오르면 더이상 오름도 없으므로 오늘의 산행도 땡입니다.

 

                   ▼드디어 마지막 봉인 황장산 정상에 다가서는 듯..

 

                   ▼16:19

                     힘겹게 올라서지만 이름 있는 산의 봉우리치곤 조금 허접하다 싶더니

                     땅바닥에 삼각점만 박혀 있을 뿐 전방에 올라야 할 봉우리가 하나 더 남아 있습니다.

 

 

                   ▼하나가 아니라 대여섯 개가 남아 있다 하더라도 어차피 가야 할 길..

 

                   ▼16:20

                     다행스럽게도 체념을 하고 삼각점봉에서 몇 걸음 내려갔다 올라가니 바로 황장산 정상입니다.

 

                   ▼정상석조차 없는 황장산..

                     이정표가 정상석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이제 이번 구간의 종점인 댓재까진 불과 0.6km..

                     하산길치곤 무척 짧은 거리입니다. 아마도 백두대간을 통틀어 가장 짧은 하산길이 아닌가 싶습니다.

                     황장산 정상에 모여 있는 산악회 산님들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며 휴식을 취합니다.

 

 

황장산 정상에서 산악회 산님들과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며 휴식을 취하는 중

임원인 듯한 어느 산님이 어디서 오셨는지 묻는다.

인천에서 왔다고 하니 자기네들은 수원에서 왔다며

댓재에 대절버스가 기다리고 있으니 같이 타고 가는 게 어떠냐고 조심스레 권한다.

어차피 남는 좌석에 한 사람 더 태우고 가는 것이 뭐 대단한 일일까만은,

사실 생면부지의 낯선 이에게 선뜻 호의를 베푸는 것도 결코 쉽지 않은 일...

함께 산길을 걷는 인연이란 게 이런 산꾼만의 정을 낳는 듯 싶다.

처음에는 서먹하다가 두세 번 어색하게 눈이 마주치게 되고,

어느 시점, 예를 들어 애매한 갈림길 같은 곳에서 서로 의견을 교환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일행이나 다름없게 된다.

도심의 어느 벤치에 앉아 과자를 먹을 때 누가 옆에 앉는다해도 먹던 과자를 권하는 법은 거의 없다.

하지만 산에서는 다반사다.

하지만 산을 벗어나면 또 각자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니 산이란 게 참 희안도 하다. 

 

 

 

                   ▼16:37

                     뒤쳐져 오는 산악회 산님들이 모두 모일 때까지 기다렸다가 하산을 합니다. 

 

                   ▼심플한 내림길이 쭉쭉 이어지고..

 

 

                   ▼16:51

                     드디어 이번 구간의 종점인 댓재로 내려섭니다.

 

 

 

 

 

                   ▼댓재의 모습을 카메라에 대충 담고,

                     식수대 뒤편으로 내려가 계곡에서 간단하게 알탕을 하고 개운하게 옷을 갈아입은 후

                     산악회 버스에 올라타면서 오늘의 대간산행을 마칩니다. 

 

 

최근 들어 거의 매 구간마다 뜻하지 않게 자연스레 인연이 만들어진다.

다음 구간에는 또 어떤 인연이 기다리고 있을까..?

이런 만나고 헤어지는 인연도 이제 몇 번 남지도 않았다.

그 인연이 끝나면 백두대간도 끝나겠지..

 

이제 아홉 구간 남았다.

 

이번 구간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보살펴 주신 천지신명께 감사드리며,

또 다음 구간도 무사히 마칠 수 있기를 부탁드리고,

홀로 걷는 산객에게 호의를 베풀어 준

수원아우리산악회에 감사의 뜻을 전하며 이번 피재-댓재 구간을 마감한다.

 

 

-마음으로 걷는 산길이야기 by 산장